Clinicopathological Analysis of Glomerulonephritis with Asymptomatic Urinary Abnormalities in Children

무증상성 요이상을 동반한 사구체신염 환아의 임상 및 병리학적 분석

  • Sung Ick-Ho (Department of Pediatrics, Inje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Pusan Paik Hospital) ;
  • Yoon Hye-Kyoung (Department of Pathology, Inje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Pusan Paik Hospital) ;
  • Chung Woo-Yeong (Department of Pediatrics, Inje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Pusan Paik Hospital)
  • 성익호 (인제대학교 부산백병원 소아과학교실) ;
  • 윤혜경 (인제대학교 부산백병원 병리학교실) ;
  • 정우영 (인제대학교 부산백병원 소아과학교실)
  • Published : 1997.10.01

Abstract

Purpose : To evaluate the prevalence and clinical manifestations of various glomerulonephritis(GN) in children with asymptomatic urinary abnormalities, a clinicopathological analysis of 134 biopsied cases which were subdivided into 3 groups of proteinuria with hematuria, isolated hematuria and isolated proteinuria was done. Methods : We conducted retrospective study with review of histopathologic findings and clinical manifestations of the 134 cases with asymptomatic urinary abnormalities diagnosed by percutaneous renal biopsy which were done between January 1986 and December 1996 at department of pediatrics, Pusan Paik hospital. Results : 1) The proportion of children with asymptomatic urinary abnormalities was 43.2% of all biosied cases. 2) Among these, primary GN were 95 cases and secondary GN were 39 cases, it's ratio was 2.44:1. As a whole, the most common pathologic diagnosis was IgA nephropathy(IgAN, 26.9%), which was followed by $Henoch-Sch\"{o}nlein$ purpura nephritis(HSPN, 17.9%), minimal change lesion(MC, 17.2%), thin GBM disease(12.7%), Hepatitis B associated glomerulonephritis(HBGN, 6.0%), poststreptococcal glomerulonephritis(PSAGN, 3.0%), mesangial proliferative glomerulonephritis(MesPGN, 2.2%), membranoproliferative glomerulonephritis (MPGN, 2.2%), Alport syndrome (1.5%) and Fibrillary nephritis(0.7%). 3) In proteinuria with hematuria, the most common pathologic diagnosis was IgAN(34.6%), which was followed by HSPN(19%), MC(17.7%), thin GBM disease(8.9%), HBGN(6.3%), PSAGN(3.6%), MesPGN(1.2%), MPGN(1.2%) and Alport syndrome(1.2%). 4) Major causes of isolated hematuria were thin GBM disease(19.6%), IgAN(17.6%), HSPN(17.6%), MC(11.8%). 5) Isolated proteinuria was due to of 3 cases of MC and 1 case of HBGN. Conclusion : The prevalence of glomerulonephritis with asymptomatic urinary abnormalities in children were 43.2% of all biopsed cases. When these children were subdivided into 3 groups, proteinuria with hematuria was accounted 58.9%(79 cases) and then isolated hematuria was 38.1%(51 cases), isolated proteinuria was only 3%(4 cases) respectively. The most common pathologic diagnosis was IgA nephropathy in patient with proteinuria and hematuria, and thin GBM disease in patient with isolated hematuria.

목적 : 경피적 신생검에 의해 사구체신염으로 진단된 환아들 중 무증상성 요이상을 주소로 하였던 환아들을 대상으로 이들을 다시 단독 단백뇨군, 단독 혈뇨군, 혈뇨와 단백뇨를 동시 에 나타내는 군으로 세분한 후 이들 각각에서의 사구체신염의 종류와 발생빈도를 분석하였다. 방법 : 1986년 1월부터 1996년 12월 사이에 인제의대 부산백병원 소아과에 입원하여 신질환이 의심되어 초음파 유도하에 Tru-cut needle을 이용하여 경피적 신생검을 시행한 환아들 중에서 사구체신염으로 진단된 15세 이하의 환아 310례 중 무증상성 요이상을 동반하였던 134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환아들의 임상양상은 의무기록을 중심으로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 1) 전체 환아 310명 중 무증상성 요이상을 동반하였던 환아는 134명으로 전체의 43.2%를 차지하였다. 2) 무증상성 사구체신염 환아 중 원발성 사구체신염은 95명, 속발성 사구체신염은 39명으로 원발성 사구체신염이 더 많았으며, 원발성과 속발성 사구체신염의 발생 비는 2.44:1이었다. 이를 빈도순으로 살펴보면 IgA 신증이 26.9%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알레르기 자반증성 신염이 17.9%, 미세병변을 보인 경우가 17.2%, thin GBM disease가 12.7%, B형 간염 바이러스와 연관된 사구체신염이 6.0%, 연쇄상구균 감염 후 사구체신염이 3.0%, 막증식성 사구체신염과 메산지움 증식성 사구체신염이 각각 2.2%, Alport 증후군이 1.5%, fibrillary 신염이 0.7%의 순이었고, 어느 곳에도 분류되지 못한 경우가 9.7%를 차지하였다. 3) 단백뇨와 혈뇨를 동시에 동반한 군에서의 사구체신염의 분포를 보면 IgA 신증이 34.6%, 알레르기 자반증성신염이 19%, 미세병변을 보인 경우가 17.7%, thin GBM disease가 8.9%, B형 간염 바이러스와 연관된 사구체신염이 6.3%, 연쇄상구균 감염후 사구체신염이 3.6%, 메산지움 증식성 사구체신염과 막증식성 사구체신염 그리고 Alport 증후군이 각각 1.2%를 차지하였다. 4) 단독 혈뇨군에서의 사구체신염의 분포를 보면 thin GBM disease가 19.6%. IgA 신증과 알레르기 자반증성 신염이 각각 17.6%, 미세병변을 보인 경우가 11.8%, B형 간염 바이러스와 연관된 사구체신염과 막증식성 사구체신염 그리고 메산지움 증식성 사구체신염이 각각 3.9%, 연쇄상구균 감염 후 사구체신염과 Alport 증후군 그리고 fibrillary 신염이 각각 2.0%를 차지하였다. 5) 단독 단백뇨군은 4례 였는데 미세병변을 보인 경우가 3례, B형 간염 바이러스와 연관된 사구체신염이 1례를 차지하였다. 결론 : 혈뇨와 단백뇨를 동시에 동반하였던 군이 79례로 58.9%, 단독 혈뇨군이 51례로 38.1%, 단독 단백뇨군이 4례로 3%를 차지하여 혈뇨와 단백뇨를 동시에 동반한 군이 가장 많았다. 전체적인 사구체신염의 발생빈도를 살펴보면 IgA신증, 알레르기 자반증성 신증, 미세병변을 보인 경우, thin GBM disease순이었고, 혈뇨와 단백뇨를 동시에 동반한 군에서는 IgA 신증이, 단독 혈뇨군에서는 thin GBM disease가 가장 많았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