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s on the Pine Mushroom Yield of Controlling Environmental Conditions at the Pine Stands in Namwoon, Korea

남원(南原) 소재(所在) 소나무림(林)의 환경조절(環境調節) 처리(處理)가 송이 발생량(發生量)에 미치는 영향(影響)

  • Park, Hyun (Div. of Forest Microbiology, Forestry Research Institute) ;
  • Kim, Se Hyoun (Chollabuk-do Forest Environmental Research Station) ;
  • Kim, Kyo Soo (Div. of Forest Microbiology, Forestry Research Institute)
  • 박현 (임업연구원 산림미생물과) ;
  • 김세현 (전라북도 산림환경연구소) ;
  • 김교수 (임업연구원 산림미생물과)
  • Received : 1997.08.05
  • Published : 1997.09.30

Abstract

This paper is presenting a practical result of environmental manipulation effect on pine mushroom Tricholoma matsutake yield and a discussion of key factor seeking for improving pine mushroom production by analyzing the effects on mushroom yield for 10 years with applying five kinds of environmental control at the pine stands located in Namwon, Chollabuk-do, Korea. The environmental controls included density control and forest floor manipulations, and the treatments were applied during early summer of 1983. The mushroom yield itself did not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treatments. But, we could manifest the treatment effects by calculating the relative yield in percent on the basis of pretreatment yield collected in 1982. The forest floor manipulation with density control may affect pine mushroom yield in short term, and continuous management should be applied to keep and improve the mushroom production. The fine root activity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of pine mushroom production at the Namwon research site since the floor raking resulted in the largest effect on the mushroom yield although the environmental condition for the growth of fungi is important for pine mushroom production. In addition, the pine mushroom forest with sandy soils demands adequate litter layer since the litter removal showed relatively detrimental effects on pine mushroom yield compared to that in litter covered plot at the research site. That is, soil texture should be considered for forest floor manipulation, and it is reconfirmed that the environmental control to improve pine mushroom production should be applied differently by each region.

본(本) 연구(硏究)는 전라북도(全羅北道) 남원(南原) 소재(所在)의 송이 발생림(發生林)에서 각종(各種) 환경조절(環境調節) 처리후(處理後) 10년간(年間) 조사(調査)한 송이 자실체(字實體) 발생량(發生量)의 변화(變化)를 검토(檢討), 분석(分析)하여 각(各) 처리(處理)가 송이 발생(發生)에 실질적(實質的)인 도움을 주는가 알아보고 송이 증산(增産)을 위(爲)하여 감안(勘案)하여야 할 인자(因子)에 대하여 고찰(考察)한 내용(內容)이다. 환경조절(環境調節) 처리(處理)는 식생정리(植生整理)와 임상조건조절(林床條件調節)이며 1983년(年) 초여름에 실시(實施)하였다. 각(各) 처리별(處理別) 송이 자실체(字實體) 생산량(生産量)은 통계적(統計的) 유의차(有意差)를 나타내지 않았다. 하지만, 시업전(施業前)인 1982년(年)의 각(各) 조사구별(調査區別) 송이 생산량(生産量)을 1로 기준(基準)하여 매년(每年) 자실체(字實體) 생산량(生産量)을 %로 환산(換算)하여 비교(比較)한 결과(結果), 시업효과(施業效果)를 구분(區分)해 낼 수 있었다. 식생정리(植生整理)와 더불어 지피물(地被物)을 관리(管理)하는 것은 단기적(短期的)으로만 송이 생산량(生産量)에 영향(影響)을 미치므로 지속적(持續的)인 관리(管理)를 통해서만 송이산(山)의 생산성(生産性)을 유지(維持), 증진(增進)할 수 있음을 확인(確認)하였다. 또한, 송이 산(山)의 생육조건(生育條件)도 중요(重要)하지만. 남원(南原)의 조사구(調査區)에서는 지표(地表)긁기가 송이 생산성(生産性) 향상(向上)에 가장 큰 영향(影響)올 나타내어 소나무 세근발달(細根發達)이 송이 생산성(生産性)에 더욱 큰 영향(影響)을 미침을 확인(確認)할 수 있었다. 아울러 본(本) 시험구(試驗區)에서는 낙엽제거(落葉除去)가 탁엽피복(落葉被覆)에 비(比)하여 오히려 송이 발생(發生)에 악영향(惡影響)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사질토양(砂質土壤)을 지닌 송이산(山)은 정적당(適當)한 낙엽(落葉)이 필요(必要)함을 알 수 있었다. 즉(卽), 토성(土性)을 고려(考慮)한 지피물(地被物) 관리(管理)가 필요(必要)하며, 지역별(地域別) 생산성(生産性) 증진기법(增進技法)은 각(各) 지역별(地域別)로 차별화(差別化)하여야 함을 재확인(再確認)할 수 있었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농림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