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 of internal sound field and resonator on radiating sound of King Song-Dok bell : proposing effective size of resonator

선덕 대왕 신종 내부 음장 및 울림통이 신종의 소리에 미치는 영향과 새로운 울림통 크기의 제안

  • 김양한 (한국과학기술원 기계공학과) ;
  • 박순홍 (한국과학기술원 기계공학과) ;
  • 김시문 (한국과학기술원 기계공학과)
  • Published : 1997.10.01

Abstract

the famous King Song-dok Bell which was cast in A.D. 771, during Silla dynasty has significant xize of concave cavity which acts as Helmholtz resonator on the ground. To see the effect of this cavity and the bell's internal acoustic cavity on radiating sound of bell, three dimensional measurement of internal sound field was performed. In this paper, the dtail measurement procedure and results are carefully addressed. The effect of the cavity on the radiating sound of bell is investigated using simple and physically representative model. A new size of cavity is proposed.

서기 771년(신라, 혜공왕 7년)에 주조된 성덕 대왕 신종은 지면으로부터 약 50cm 떨어지게 설치되어 있으며 지면에 울림통을 가지고 있다. 이 울림통은 일종의 공명기의 역할을 하여 종 내부와 함께 성덕 대왕 신종의 고유한 소리 특성에 영향을 줄 것이라 예측되어 왔다.[1, 2, 3]. 본 논문에서는 이를 규명하기 위한 내부 음장의 3차원 측정 실험을 소개하고 있으며 울림통이 종소리에 끼치는 영향을 단순하나 물리적 현상을 대표하는 모델을 이용하여 설명하고 있다. 이러한 해석 방법을 기초로 하여 새로운 울림통의 크기를 제안하고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