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s of Cognitive Styles and Navigation in HyperSpace Learning Environment

하이퍼스페이스 학습 환경에서의 인지 형태와 네비게이션의 교육 효과에 관한 연구

  • Published : 1997.12.01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individual differences in navigating in hyperspace learning environment where a minimum structure is provided. Using a hypercard stack called "Pearl Harbor", Field Dependent people used guidance more often than those in Field Indepedent; FI achieved scored higher at the end of the study; and FI people had some type of pattern showing from them audit trail when FD people did not show any trail of patterns. Also people with higher visual thinking scores achieved higher scores in hyperspace environment.

본 논문에서는 최소한의 구조성을 갖는 하이퍼스페이스 학습 환경에서의 수업 진행에 있어서 두가지 개별적 인 차이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펄 하버”라는 하이퍼 스택의 사용에 있어서 GEFT(Group Embeded Figure Test)를 통해 보면, 장 종속적인(Fleld Dependsnt) 사용자는 장 독립적인(Field Independent) 사용자보다 더욱 자주 지침서를 사용하였으며, 연구후 FI 사용자가 궁극적으로는 더욱 높은 시험 결과를 보여 주었다. 또한, FD 사용자가 일정한 형식의 진행 과정을 보여 주지 않은 데 반해, FI 사용자는 일정한 형태의 학습 진행 과정을 나타내었으며, 영상 사고가 높은 학습자가 하이퍼스페이스 학습환경에서 더욱 큰 교육 효과를 얻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