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of Biomedical Engineering Research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Volume 18 Issue 3
- /
- Pages.301-306
- /
- 1997
- /
- 1229-0807(pISSN)
- /
- 2288-9396(eISSN)
Quantitative Evaluation of the Remaining Hepatic Function after Surgery in Patients with Hepatic Cancer using Deconvolution Technique of Tc-99m DISIDA SCAN
Tc-99m DISIDA SCAN에서 deconvolution 방법을 이용한 간암 환자의 수술 후 잔여 간 기능의 정량적 평가
- Kim, Deok-Won (Dept. of Biomedical Engineering, College of Medicine, Yonsei University) ;
- Kim, Su-Chan (Dept. of Biomedical Engineering, College of Medicine, Yonsei University) ;
- Yun, Seok-Jin (Dept. of Surgery, College of Medicine, Yonsei University) ;
- Lee, Jong-Du (Dept. of Diagnostic Radiology, College of Medicine, Yonsei Universiy) ;
- Kim, Byeong-Ro (Dept. of Surgery, College of Medicine, Yonsei University)
- 김덕원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의용공학교실) ;
- 김수찬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의용공학교실) ;
- 윤석진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교실) ;
- 이종두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진단방사선학교실) ;
- 김병로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교실)
- Published : 1997.09.01
Abstract
Surgical removal of hepatic cancerous tissues have been widely performed due to its early detection. However, a patient can not survive if excessive hepatic tissues were removed. Therefore, quantitative evaluation of remaining hepatic function after surgery is a really important factor for surgeon. the currently used ICG Rmax and Lidocaine clearance tests have disadvantages such as tedium, complexity, and inability to estimate remaining hepatic function after surgery. While HEF has advantages such as simplicity, quickness, nonivasiveness, and quantification, its reliability has been doubtful. Thus, the program for calculation of HEF has been developed from serial gamma camera image data. And we compared the reliability of HEF with ICG Rmax and Lidocaine clearance test using 6normal and 18 abnormal rabbits with damaged livers. The correlation coefficient of HEF to ICG Rmax and MEGX was 0.91, 0.94, respectively. I was also found that the HEFs of normal and abnormal hepatic tissues was higher than 100% and lower than 80%, respectively. Thus we confirmed that HEF can be a good indicator distinguishing between abnormal tissues and normal ones. Finally, we could conclude that patients would survive if both the pre-and the post-operative HEF were greater than 60%.
간암의 조기 발견으로 인해 간 절제술이 많이 행해지고 있다. 그러나 간을 너무 많이 절제할 경우 수술 후 사망하므로 수술후 잔여 간 기능의 정량적 평가는 외과의에게 매우 중요한 파라미터이다. 그러나 현재 사용하는 ICG Rmax나 Lidocaine clearance test는 시간이 많이 걸리고, 복잡하며, 수술 후 잔여 간 기능의 정량적 평가는 불가능하다. 한편 HEF는 측정의 간편성, 신속성, 비관혈성, 정량성 등의 장점이 있으나 정확성에 의문이 제기되어왔다. 그리하여 본 연구에서는 감마카메라 영상으로부터 HEF를 계산하는 소프트웨어를 개발하여 간을 손상시킨 토끼 18마리와 정상 토끼 6마리를 대상으로 HEF의 정확성을 ICG Rmax 및 MEGX와의 상관계수를 구한 결과 각각 0.91 및 0.94이었다. 그리고 정상인과 비정상인을 대상으로 한 실험에서는 정상군의 HEF는 100% 이상, 비정상군의 HEF는 80% 이하로 나타나 정상군과 비정상군의 구별에 좋은 방법임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잔여 간 기능의 정량적 평가를 위해 비정상군 중 절제 수술을 시행한 후 생존자를 관찰해 본 결과, 수술 전후의 HEF가 각각 60% 이상인 환자들을 대부분 생존하여 HEF가 60%이면 생존 가능성이 높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