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pidemics of Ascetic Meningitis in Kyoungsangnamdo from May to August, 1996

96년도 상반기에 경상남도 중부지방에서 유행한 무균성 뇌막염에 대한 고찰

  • 권오수 (마산파티마병원 소아과) ;
  • 이경림 (마산파티마병원 소아과) ;
  • 김원엽 (마산파티마병원 소아과) ;
  • 정원조 (마산파티마병원 소아과) ;
  • 마상혁 (마산파티마병원 소아과) ;
  • 이규만 (한림대학교부속 한강성심병원 임상병리과)
  • Published : 1997.06.20

Abstract

Purpose : Aseptic meningitis mainly caused by enterovirus is common in pediatric population especially during summer & fall. Most of pediatric patients restore their health without any complications with proper management. Between May to August of 1996, Masan and surrounding areas of the Kyoungsangnamdo were epidemic areas for the aseptic meningiti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causative virus and describe correlation between disease and clinical symptoms in aseptic meningitis patients and those with fever and characteristic rashes without apparent meningitis symptoms. Methods : Between May to August, 1996, 57 patients with high fever and characteristic feature of rashes were reviewed. From 22 cerebrospinal fluid & 57 stool obtained specimens, viral culture and detection of enterovirus RNA were conducted. Collected specimens were kept in $-30^{\circ}C$ environment until sending of specimens to labortory. The virus identified through indirect immunofluorescence. RT-PCR method was used to identify enterovirus RNA in cerebralspinal fluid. Results : 1) One hundred fifty five pediatric patients with viral infection required hospitalization. Disease occurred higher rate in male than female with ratio of 1.94:1. Examined patients' age ranged from 15days old to 15years old. But most of patients(74.8%) were under age of 5years old. The time of occurrence was between May to August of 1996. 2) All patients had high fever and physical symptoms in those patients include headache, vomiting, abdominal pain, diarrhea, and rashes. The rashes observed mainly in patients under age of 4 years and were predominantly commom patients under age of 18 months olds)<0.001). 3) Between sampled patients and non-sampled patients, clinical course was similar. Echovirus type 9 was cultivated in 41 out of 57 cases of collected stool specimens. RT-PCR that used on CSF showed positive results in 10 out of 22 cases. Three cases of positive cultivated of positive results in RT-PCR were echovirus type 9. Conclusions : Echovirus type 9 was thought to be the causative agent of aseptic meningitis that was prevalent throughout mid areas of Kyoungsangnamdo from May to August, 1996. Additionally causative agent that responsible for high fever with rashes without meningitis symptoms also thought to be the same echovirus type 9.

목 적 : 무균성 뇌막염은 소아에서 많이 발병하는 질환으로 여름과 가을에 많이 호발하며 원인은 주로 장바이러스(enterovirus)로 알려져 있다. 감염된 환아들은 단기간에 증상이 좋 아지며 대부분 합병증 없이 회복된다. 이에 저자들은 1996년 5왈말부터 8월까지 마산지역을 중심으로 무균성 뇌막염이 유행하였던 바 뇌막염 환자 및 뇌막염 증상은 보이지 않으나 고열과 발진을 주소로 내원한 환아에서 원인 바이러스를 규명하고 임상 증상과의 관계를 추구 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1996년 5월부터 8월까지 마산파티마 병원에 무균성 뇌막염으로 진단된 환아 및 고열이 나면서 몸에 특징적인 발진이 생겨 바이러스 감염이라고 생각되었던 환아 155명중 57명에서 검체를 채취하여 (뇌척수액22례, 대변57례) 바이러스 배양과 장바이러스 (enterovirus) RNA의 검출을 시행하였다. 뇌척수액은 요추천자를 하여 무균 튜브에 채취하였고 대변은 면봉법으로 채취하여 무균 튜브에 넣어서 검사 전까지 $-30^{\circ}C$ 냉동고에 보관하여 검사실까지 운반시는 밀봉된 용기에 드라이아이스를 넣어 이송하였다. 채취된 뇌척수액과 대변에서 바이러스 분리를 시행하고 면역형광법을 이용하여 바이러스를 동정하였다. 바이러스 배양에 사용한 세포주들은 human embryonal rhabdomyosarcoma(RD), African green monkey kidney(BS-C-1), human lung diploid(MRC-5), human cervix epidermoid carcinoma(HeLa)세포주였고 뇌척수액에서의 장바이러스 RNA는 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RT-PCR)을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결 과 : 1) 바이러스 감염으로 인하여 입원하였던 환아는 155명이었으며 남녀의 비는 1.94:1로 남아가 많았고 연령분포는 생후 15일부터 15세까지 다양한 연령층의 분포를 보였으나 주로 5세미만에서 발생하였으며(74.8%) 시기상으로는 1996년 5월부터 1996년 8월까지 환자가 발생 하였다. 2) 임상 증상은 전례에서 고열이 동반되었으며 그 외에 두통, 구토, 복통, 설사, 발진이 주된 임상 증상이었으며 발진은 4세 미만에서, 특히 18개월 이하에서 많이 관찰되었다 (p<0.001). 3) 뇌척수액을 이용한 RT-PCR 결과는 22례 중 10례에서 양성의 결과가 나왔고 그중 3례에서 echovirus type 9이 분리되었다. 4) 대변검체가 의뢰된 환자 54례중 41례에서 바이러스가 분리되었으며 분리된 바이러스는 모두 echovirus type 9 이었다. 결 론 : 1996년도 상반기에 경상남도 중부 지방에서 유행한 무균성 뇌막염의 원인 바이러스와 같은 시기에 유행한 고열과 발진의 원인 바이러스는 동일한 바이러스로서 모두 echovirus type 9 이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