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inhole Bone Scintigraphic Manifestation of Fibrous Dysplasia

섬유성 이형성증의 바늘구멍 골스캔 소견

  • Baek, Jee-Hee (Department of Radiology, College of Medicine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
  • Lee, Sung-Yong (Department of Radiology, College of Medicine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
  • Kim, Sung-Hoon (Department of Radiology, College of Medicine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
  • Chung, Yong-An (Department of Radiology, College of Medicine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
  • Kim, Bum-Soo (Department of Radiology, College of Medicine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
  • Song, Ha-Hun (Department of Radiology, College of Medicine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
  • Chung, Soo-Kyo (Department of Radiology, College of Medicine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
  • Kang, Si-Won (Department of Radiology, College of Medicine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
  • Bahk, Yong-Whee (Department of Radiology, College of Medicine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
  • Shinn, Kyung-Sub (Department of Radiology, College of Medicine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 백지희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방사선과학교실) ;
  • 이성용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방사선과학교실) ;
  • 김성훈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방사선과학교실) ;
  • 정용안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방사선과학교실) ;
  • 김범수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방사선과학교실) ;
  • 송하헌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방사선과학교실) ;
  • 정수교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방사선과학교실) ;
  • 강시원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방사선과학교실) ;
  • 박용휘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방사선과학교실) ;
  • 신경섭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방사선과학교실)
  • Published : 1997.11.20

Abstract

To evaluate the pinhole scintigraphic findings and its significance, authors retrospectively compared the pinhole bone scintigrams and corresponding radiograms of 16 lesions in 14 patients with fibrous dysplasia. They were diagnosed pathologically in 10 lesions and radiologically in 6 lesions. The mean age of patients was 41.1 years. The mean interval between two studies was 1.1 days. Locations were ribs 7, pelvic bone 4, clavicle 1, long bones 4(femur 2, tibia 1, humerus 1). The radiographic findings were as follows : the central portions were radiolucent(n=9), ground-glass opacities(n=5) or sclerotic(n=2) and the peripheral appearance were sclerotic rim(n=5), septation(n=7), cortical perforation (n=10) and invisible cortical thinning(n=9). Pinhole scintigraphic findings were as follows; Central portions showed normal 1+ uptake in 6 cases(radiolucent 5, ground-glass opacity 1), slightly increased 2+ upta- ke in 7 cases(radiolucent 4, ground-glass opacity 3), and marked 3+ uptake in 3 cases(ground-glass opacity 1, sclerotic 2). The 15 of 16 lesions showed more intense uptake in the peripheral portion: slightly increased 2+ uptake corresponding to the sclerotic rim(5/5) and unvisible cortical thinning(1/9), and irregular foci of marked 3 + uptake corresponding to septation(7/7), cortical perforation(10/10) and invisible cortical thinning (8/9). One of 16 lesions showed homogeneous 2+ uptake. In conclusion, pinhole scintigram provides information on regional activity of the fibrous dysplasia, which would be helpful in diagnosis, prediction of prognosis and determination of treatment plan.

저자들은 섬유성 이형성증으로 진단받은 14명 환자의 16병변에서 단순 X-선사진의 소견에 따른 부위별 방사능 집적 정도를 알아보고 그 의의를 평가하기 위해 바늘구멍 골스캔과 단순 X-선사진 소견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여 비교하여 보았다. 10병변은 수술하여 조직학적으로 확진되었고, 6병변은 방사선학적으로 진단 받았다. 평균연령은 41.1세이며, 두 검사간의 간격은 평균 1.1일이었다. 병소의 위치는 늑골 7예, 골반골 4예, 쇄골 1예, 대퇴골 2예, 장골 1예, 상완골 1예였다. 바늘구멍골스캔 소견상 중심부에서 1+로 정상 방사능 집적을 보인예는 6예(방사선투과성 병변 5예, 간유리모양 병변 1예)이고, 2+로 중등도로 증가된 방사능 집적을 보인 경우는 7예(방사선투과성 병변 4예, 간유리모양 병변 3예)이며 3+로 현저히 증가된 경우는 3예(간유리모양 병변 1예, 경화성 병변 2예)가 있었다. 16예 중 15예에서 주변부 병소에 한 군데 이상의 증가된 방사능 집적이 불규칙한 환상이나 결절모양으로 나타났는데, 2+의 중등도 방사능 집적이 경화성테두리 5예와 비가시성 피질 1예에서, 그리고 3+의 현저한 방사능 집적증가는 격막과 피질천공을 보인 모든 예(7예, 8예)에서, 그리고 비가시성 피질 9예 중 8예에서 나타났다. 16예 중 1예는 중심부와 주변부 병소가 균일한 2+의 집적증가를 보였다. 바늘구멍 골스캔상 섬유성 이형성증의 방사선투과성병변은 이제까지 보고된 것과는 다르게 많은 예에서 인접 정상골과 비슷한 집적을 보였다. 또한, 격막, 피질골절 또는 비가시성 피질 등의 소견을 보이는 부분에 방사능 집적이 현저히 증가되어 주변부의 불규칙한 환상 또는 결절모양의 방사능 집적형태를 보였으며, 이들 병소는 골대사가 활발한 부위로 생각된다. 이와 같은 골의 섬유성 이형성증의 바늘구멍 골스캔 소견을 분석함으로써 부위별 활성도를 평가하여 진단, 예후 추정 및 치료방침을 결정하는데 유용하리라 사료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