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량강도 조절법을 이용한 방사선치료

Intensity Modulation in Radiation Therapy

  • 김성규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치료방사선과학교실) ;
  • 김명세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치료방사선과학교실)
  • 발행 : 1997.12.01

초록

방사선치료에서 three dimensional conformal radiation therapy (3DCRT) 에 접근하는 방법으로 조사하는 방향에 따라 선량의 강도를 조절함으로서 암조직에만 집중적으로 선량을 조사하며 주위 정상조직에는 최소의 선량이 조사되도록 하는 방법으로 1990년대부터 Memorial Sloan-Kettering Cancer Center를 중심으로 연구되었다. 암조직의 치료부피를 최적화하기 위하여 암조직의 모양에 따라 선량분포곡선이 이루는 치료용적이 종양용적과 같아야 한다. 이러한 3DCRT는 암조직에 집중적으로 선량을 조사할 수 있어서 중요장기들의 한계선량을 유지하면서 암조직에 조사되는 선량을 20% 정도 증가시킬수 있다. 방사선치료의 궁극적인 목적이 종양부위에 균등한 치유선량이 도달되게하고 병변 부위의 정상조직의 손상을 최소가 되게 하는 것이며, 이러한 수행을 위하여 CT planning 등을 이용하여 치료계획을 수립하여 치료용적과 종양용적을 거의 같게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조사하는 부위에서 선량의 강도를 조절하여 암조직의 치료용적을 최적화하는 3DCRT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폐암환자에서 강도 조절법을 사용한 치료계획에서 일반적인 치료계획을 시행한 경우를 비교하면 종양용적에 접근한 치료계획과 정상조직에 대한 선량 감소를 보여주고 있으며, 직장암 환자에서도 두 치료계획에서 선량분포가 잘 비교가 됨을 볼 수 있다.

In radiation therapy, the goal of three dimensional conformal radiation therapy(3DCRT) is to conform the apatial distribution of the prescribed radiation dose to the precise 3D configuration of the tomor, and at the same time, to minimize the dose to the surrounding normal tissues. To optimize treatment volume of tomor, treatment volume will be same tomor volume. Biological considerations need to be incorporated in the intensity modulation optimization process. Planning of intensity modulated treatment can irradiate more 20% in tomor compare to conventional 3DCRT. In lung cancer and rectal cancer, planning of intensity modulated treatment showed optimizing dose distribution.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