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avy Metal Distribution Patterns and Its Effect on Paddy Soils and Stream around Gubong Mine

구봉광산 주변 중금속의 분포양상 및 인근농경지와 하천수계에 미치는 영향

  • Published : 1997.12.01

Abstract

This investigation was conducted to provide information for characteristics of environmental pollution by the heavy metals from the abandoned gold mine in order to characterize the distribution patterns and environmental damages of the contaminants to the surrounding environment. Through analysis of CN, Cd, Cu, Pb, Zn, As, Cr, and Hg in a mine tailings, paddy soils, and stream sediments,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the mine tailings and paddy soils were measured. The pH's were 5.4, 8.4 for the paddy soil and mine tailing, respectively. The maximum contents of CN, Pb, Cd, and As the in mine tailing were 99.98, 1,752.72, 31.88, and 298.50 mg/kg, respectively. The amounts of these ions were higher than the standard level of industrial area in Korea. The average content of CN and heavy metals in the paddy soils were higher than the background level of heavy metals in the unpolluted paddy soils around the mine. Especially, the contents of heavy metals in the paddy soils along the adjacent stream were higher compared to the paddy soil that was not influenced by the mine tailings. The contents of CN and heavy metals in the stream sediment close to the mine area were similar to those of the mine tailings, but decreased along the distance of the stream farther away from the tailings that was the source of these pollutants.

오염된 토양을 복원하기 위해서는 주변 환경에 있어서 오염원의 분포 특성과 오염원에 의한 피해 정도를 조사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조사는 폐금속 광산으로부터 발생된 중금속 오염 현황에 대한 정보를 얻기 위하여 광미와 농경지 토양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으며 광미와 농경지 토양, 그리고 하천 침전물의 시안, 카드뮴, 구리 , 납, 아연, 비소, 크롬, 그리고 수은의 함량을 조사하였다. 농경지 토양과 광미의 pH는 각각 5.4, 8.4이었다. 광미중 시안, 납, 카드뮴, 그리고 비소의 함량은 99.98, 1,752.12, 31.88, 298.50 mg/kg이었다. 이들 중금속의 함량은 공장 산업지역의 대책 기준치보다 높은 함량이었으며 농경지 토양에서 시안과 중금속의 평균량은 광산 주변 비오염지역보다 높았다. 특히, 하천 주변 농경지 토양의 중금속 함량은 다른 주변 농경지보다 높게 나타났다. 광미장 하부 하천의 시안과 중금속의 함량은 광미장의 함량과 비슷하였으나 광미장으로부터 거리에 멀어짐에 따라 하천에 잔존하는 시안과 중금속의 함량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