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stiribution of Metals and Cyanide in Soils and Acid leachate Occurrence around the Daduck mine

다덕광산 주변 토양에서의 금속 및 시안의 분포와 산성침출수 생성

  • 정영욱 (한국자원연구소 자원개발연구부) ;
  • 민정식 (한국자원연구소 자원개발연구부) ;
  • 김인기 (한국자원연구소 자원개발연구부) ;
  • 김옥환 (한국자원연구소 자원개발연구부) ;
  • 이승길 (코오롱엔지니어링 환경기술연구소) ;
  • 우종한 (코오롱엔지니어링 환경기술연구소) ;
  • 최광호 (코오롱엔지니어링 환경기술연구소)
  • Published : 1997.12.01

Abstract

Geochemical study was carried out to find out the distribution of metals and cyanide in soil in the vicinity of the abandoned Daduck mine and the reason for acid mine drainage occurrence in the tailings impoundment. Chemical analysis showed that content of As in soil around tailings exceeded 15mg/kg, Korean standard of soil contamination in the farm land. That means the contamination of soil by As is due to input of tailings. According to total decomposition of tailings, As, Cd, Cu, Pb, Zn and S were highly concentrated in tailings. However the water in tailings impoundment was changed to acidic and contaminated by metals and sulfate because the tailings in the top of the tailings impoundment had been oxidized. Acid mine drainage contaminated the water course in the vicinity of the paddy soils. The proper measures are required to prevent contamination of the soil and water in the vicinity of the Daduck mine.

경북 봉화군에 소재한 폐광산인 다덕광산 광미장 및 인근 농경지를 대상으로 금속성분 및 시안의 분포특성과 광미장을 통과하여 방류하는 산성침출수의 생성원인을 파악하였다. 토양오염 공정 시험법에 의한 분석자료에 의하면 광미장 주변의 논 및 밭에서 As이 농경지 토양오염대책 기준인 15mg/kg을 초과하여 광미의 유입에 의해 토양이 오염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광미중에는 As, Cd, Cu, Pb, Zn 및 5 등이 매우 높게 함유된 것으로 나타났고 특히 산화가 진행된 광미장 지표면 부근의 광미에는 이러한 성분들이 용탈되어 산성침출수가 농수로 방류되고 있다. 따라서 토양오염 및 농수로의 오염의 확산 방지를 위해서는 광산주변에 산재하고 있는 광미 및 광미장에 대한환경오염방지 대책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