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sessment of Soil Contamination and Hydrogeochemistry for Drinking Water Sites in Korea

국내 먹는샘물 개발지역의 토양 오염 평가 및 수리지구화학적 특성

  • Published : 1997.03.01

Abstract

Geochemical data of soil and water samples were presented in order to assess the environmental impart for drinking water sites. Microscopic observation of rock samples and physical and chemical analysis of soil and water samples were undertaken. The geology of study areas a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such as granitic rocks, meta-sedimentary rocks and sedimentary rocks. Enrichment of heavy metals derived from those rocks is not found in this study areas. Soils were analyzed for Cu, Pb, Zn, Cd and Cr using AAS extracted by HNO$_3$+HClO$_4$ and 0.1 N HCl. Heavy metal concentrations in soils are within the range of those in uncontaminated soils. In comparison of metal contents extracted by 0.1 N HCl and HNO$_3$+HC1O$_4$, less than 10% of the heavy metals are present in the exchangeable fraction. In particular, an pollution index has been proposed to assess the degree of soil contamination. Pollution index in soils are between 0.03 and 0.47 therefore, soils are not polluted with heavy metals. Deep groundwaters within granitic rocks have been evolved into Na$\^$+/-HCO$_3$$\^$-/ type, whereas other deep groundwaters evolved into Ca$\^$2+/-HCO$_3$$\^$-/ type. The predominance of Na$\^$+/ over Ca$\^$2+/ in deep groundwaters within granitic rocks is a result of dissolution of plagioclase, but for sedimentary and meta-sedimentary rocks, dissolution of calcite is a dominant factor for their hydrogeochemistry. The pH, conductivity and contents of the most dissolved ions in the water increase with depth. Shallow groundwaters, however, are highly susceptible to pollution owing to agricultural activities, considering the fact that high contents of nitrate, chloride and potassium, and high K/Na ratio are observed in some shallow groundwaters. In a thermodynamic approach, most natural water samples are plotted within the stability fields of kaolinite and smectite. Therefore, microcline and other feldspars will alter to form clay minerals, such as kaolinite and smectite. From the modelling for water-rock interactions based on mass balance equation, models accord well with behavior of the ions and results of thermodynamic studies are derived.

먹는샘물 개발지역에서의 환경 영향 평가를 위한 수리지구화학의 기초 자료를 국내 먹는샘물 개발지역에 존재하는 암석, 토양 및 자연수 시료를 예로 하여 제시하였다. 암석에 대해서는 현미경 분석을 실시하였고, 토양 및 자연수 시료에 대해서는 화학 분석을 실시하였다. 토양은 분해 방법별로 중금속 원소들의 함량 비교를 하였으며 오염지수를 통해 오염 영향을 평가하였다. 또한 자연수 시료들을 대상으로 기반암 및 심도에 따른 수리지구화학적 특성과 자연수의 화학적 진화, 물-암석 반응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대수층을 구성하는 암석을 화강암질암과 변성퇴적암류, 그리고 퇴적암류로 구분하였으며 이들 기반암에서 비롯된 중금속의 토양과 자연수의 오염 현상은 없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연구 지역의 토양은 HNO$_3$+HClO$_4$의 혼합산을 이용한 방법과 0.1 N HCl을 사용한 방법 모두에서 낮은 중금속 함량을 보여 자연적인 부화 현상이나 인위적 오염을 받지 않은 토양임을 알 수 있었다. 특히 0.1 N HCl을 사용하여 중금속 중 가용성 부분을 추출해 낸 결과 Cu, Pb, Zn, Cd 및 Cr 등 중금속 원소의 함량은 상당히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따라서 식물과 수계를 통한 오염의 영향은 매우 낮다고 할 수 있다. 오염지수를 통해 여러 원들의 복합적인 오염 양상을 고려하여 오염도를 산출한 결과 역시 연구 지역 토양은 오염지수가 0.03~0.47로 중금속에 의한 오염이 진행되지 않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심부지하수 시료를 대상으로 암종별 특징을 살펴보았을 때 화강암질암의 지하수 시료는 $Ca^{2+}$-HCO$_3$$^{-}$의 유형을 거쳐 $Na^{+}$-HCO$_3$$^{-}$ 유형까지 진화하였으나 변성퇴적암과 퇴적암내의 지하수 시료는 $Ca^{2+}$-HCO$_3$$^{-}$의 유형에 머물러 있다. 이는 구성 광물 중 사장석의 용해가 화강암질암내 지하수의 특성을 조절하고 있는 반면 변성퇴적암과 퇴적암내 지하수 시료에서는 방해석의 용해만이 주된 반응으로 작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심도별 특징을 살펴보았을 때 지표수에서 심부지하수로 이동하면서 수소이온농도, 전기전도도 및 대부분의 용존이온 함량은 증가하고 있다. 한편 일부 천부지하수시료에서는 NO$_3$$^{-}$ , Cl$^{-}$$K^{+}$의 함량 및 K/Na의 비가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농업활동으로 인한 오염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판단된다. 열역학적 고찰을 통해 볼 때 대부분의 자연수는 kaolinite 및 smectite 형성환경에 위치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질량보존을 기초로 한 반응모델을 설정한 결과, 용존이온의 거동 및 열역학적 연구 결과와 부합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