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흡충 : 충체 및 대사성 항원의 특성분석 (II) 간흡충 감염 가토에서 간흡충, 분비배설액 및 담즙 항원의 분획 양상

Clonorchis sinensis: Analysis Characterization of Somatic and Metabolic Antigen (II) Profile of the Worm, Excretory-secretory and Billis Antigen in C. sinensis Infected Rabbit

  • Yong-Suk Ryang (Department of Medical Technology, College of Health Science, Yonsei University) ;
  • Yoon-Kyung Cho (Department of Medical Technology, College of Health Science, Yonsei University) ;
  • Ji-Sook Lee (Department of Medical Technology, College of Health Science, Yonsei University)
  • 발행 : 1997.12.01

초록

가토에게 간흡충을 감염시키고 3개월 후 거살한 다음 간흡충의 충체, 간흡충의 분비배설액 그리고 간토의 담즙을 조항원으로 제조한 후 이에 대한 항원단백질의 구성물질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cysteine계 면역억제제인 E-64와 serine계 면역억제제인 PMSF를 첨가하였을 때 단백질 구성물질의 발현 양상을 관찰하였다. 실험적으로 가토에서 얻은 간흡충 성충의 조항원은 200-9 kDa의 범위에서 26개의 분획 을 관찰하였으며, 간흡충 성충 조항원에 cysteine계 단백질분해효소 억제제인 E-64를 첨거하였을 때 잘 보존하여 200-9 kDa의 범위에서 29개의 분획을 관찰하였다. 간흡충 성충의 분비배설액 조항원은 200-9 kDa범위에서 27개의 분획이 관찰되었으며, cysteine계 단백질분해효소 억제제인 E-64를 첨거하였을 때 잘 보존하여 200-9 kDa의 범위에서 29개의 분획이 관찰되었다. 그리고 간흡충을 감염시킨 가토의 담즙 조항원은 200-9 kDa의 범위에서 19개의 분획이 관찰되었으며, serine 계 단백질분해효소인 PMSF를 첨거하였을 때 200-10 kDa의 범위에서 22개의 분획이 관찰되었으나, cysteine계 단백질분해효소인 E-64에서도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대조군인 건강 가토의 담즙 조항원은 200-10 kDa의 범위에서 22개의 분획이 관찰되었으며, serine계 단백질분해효소 억제제인 PMSF를 첨가하였을 때 잘 보존하여 200-12 kDa의 범위에서 23개의 분획이 관찰되었다. 앞으로 각 항원에 대한 면역학적 특징 및 단세포군 항체에 대한 구체적인 규명이 계속되어야겠다.

The authors characterized the proteins of the crude antigen obtained from Clonorchis sinensis worm and excretory-secretory and billis from rabbits, experimentally infected for 3 months. Protein composition was observed after adding a cysteine proteinase inhibitor E-64 and a serine proteinase inhibitor PMSF, respectively. SDS-PAGE of the crude antigen from C. sinensis recovered from the infected rabbits, the crude antigen from the adult worm excretory-secretory, and the crude antigen from billis of the rabbits resolved 26, 27 and 19 profiles between 200-9 kDa, respectively. When E-64 supplemented 29, and 22 bands, respectively. More study should be carried out in the future on the immunological characteristics and the monoclonal antibody of the each antigen.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