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T-tree index recovery for distributed main-memory database systems in ATM switching systems

ATM 교환기용 분산 주기억장치 상주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에서의 T-tree 색인 구조의 회복 기법

  • Published : 1997.09.01

Abstract

DREAM-S is a distributed main-memory database system for the real-time processing of shared operational datra in ATM switching systems. DREAM-S has a client-server architecture in which only the server has the diskstorage, and provides the T-Tree index structure for efficient accesses to the data. We propose a recovery technique for the T-Tree index structre in DREAM-S. Although main-memory database system offer efficient access performance, the database int he main-memory may be broken when system failure such as database transaction failure or power failure occurs. Therfore, a recovery technique that recovers the database (including index structures) is essential for fault tolerant ATM switching systems. Proposed recovery technique relieves the bottleneck of the server processors disk operations by maintaining the T-Tree index structure only in the main-memory. In addition, fast recovery is guaranteed even in large number of client systems since the T-Tree index structure(s) in each system can be recovered cncurrently.

DREAM-S는 ATM 네트워크용 교환 시스템에서 응용 프로그램들의 교환기 운용 데이터에 대한 실시간 처리 요구를 지원하기 위한 분산 주기억장치 상주 데이터베이스 시스템(Main Memory Database Systems)이다. DREAM-S는 클라이언트-서버 구조를 가지면서 서버 프로세서에만 디스크가 연결되어 있으며, 대량의 데이터로부터 원하는 데이터를 신속히 검색하기 위하여 T- Tree 색인 구조를 제공한다. 본 논문에서논 DREAM-S에서 T- Tree 색인 구조에 대한 회복 기법를 제안한다. 주기억장치 상주 데이터베이스는 디스크 상주 데이터베이스 보다 뛰어난 성능을 제공하지만 시스템 고장 시(정전 등과 같은 오류) 주기억장치에 저장된 모든 데이터(릴레이션과 색인 구조)가 파손될 수 있다. 따라서 고장 후 파손된 주기억장치 데이터베이스를 신속히 정상 데이터베이스 상태로 회복하는 회복 기법이 필수적이다. 제안된 회복 기법에서는 T-Tree 색인 구조를 각 프로세서의 주기억장치에만 유지하도록 함으로서 ATM 교환기 시스템의 성능에서 병복 현상을 일으킬 수 있는 서버 프로세서의 디스크 출입 오버헤드를 줄인다. 또한, 시스템 고장 후 서버와 모든 클라이언트 시스템들이 병렬 처리 방식으로 각자의 T- Tree(들)를 회복하도룩 함으로서 클라이언트 개수가 많은 경우에도 신속한 회복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The Design and Analysis of Computer Algorithms A. Aho;J. Hopcroft;J. D. Ullman
  2. ACM Computing Surveys v.3 no.2 The Ubiquitous B-Tree D. Comer
  3. Proc. Intl. Conf. on Data Engineering A Classification and Comparison of Main Memory Database Recovery Techniques M. H. Eich
  4. IEEE Fall Joint Computer Conference v.2 no.6 Main Memory Database Recovery M. H. Eich
  5. IEEE Trans. on Knowledge and Data Enginering v.4 no.6 Main Memory Database Systems:An Overview H. Garcia-Molina;K. Salem
  6. Proc. Intl. Conf. Very Large Data Bases Recovering from Main-Memory Lapses H. Jagadish;A. Silberschatz;S. Sudarshan
  7. Proc. 12th Intl. Conf. Very Large Data bases A Study of Index Structures for Main Memory Database Management Systems T. J. Lehman
  8. Design and Performance Evaluation of a Main Memory Relational Database System, Technical Report 656 T.J. Lehman
  9. ETRI Journal v.18 no.3 An Architecture of Scalable ATM Switching System and Its Call Processing Capacity Estimation Y. B. Kim
  10. 정보과학회지 v.14 no.2 주기억 장치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에서의 회복 기법에 대한 고찰 우승균;이윤준;김병호
  11. 정보과학회지 v.14 no.2 M²rtss:주 메모리 실시간 저장 시스템 차상균;박장호;박병대;이성직
  12. 한국정보과학회 추계학술발표회 자료집 DREAM-S 데이터 백업 시스템에서의 Fault-Tolerant Logging Scheme 한미경;윤용익
  13. 한국정보과학회지 v.11 no.1 주기억 장치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에서의 파손회복기법 황규영;김상욱
  14. IEEE Intl. Conf. on Communication Systems (ICCS) v.1 no.3 Operating System Support for Cross Debugging on Switching Applications E. H. Lee;S. I. Jun;J. H. Ch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