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Influence of Leadframe Oxidation on the Cu/EMC Interface Adhesion

리드프레임의 산화가 Cu/EMC 계면 접착력에 미치는 영향

  • 조순진 (한국과학기술원 재료공학과) ;
  • 백경욱 (한국과학기술원 재료공학과)
  • Published : 1997.09.01

Abstract

Cu/EMC 계면 접착력에 미치는 산화의 규명하기 위해 리드프레임의 저온 산화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이전의 보고와 달리, 저온에서도 Cu$_{2}$O위에 CuO산화물이 형성되어 Cu/Cu$_{2}$O(NiO)/Cu(NiO)/air의 산화층 구조를 나타내었다. Cu/EMC 계면 접착력은 산화가 진행됨에 따라 산화 초기에 급격히 증가하다 최대값에 이르고, 이후의 계속적인 산화로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 접착력은 산화 온도나 리드프레임의 종류보다 산화막의 두께에 밀접한 상관 관계를 나타내었다. 최대 계면 접착력이 얻어지는 산화막의 두께는 리드프레임의 종류보다 산화막의 두께에 밀접한 상관 관계를 나타내었다. 최대 계면 접착력이 얻어지는 산화막의 두께는 리드프레임의 종류와 무관하게 대략 20nm 와 30nm 사이에 존재하였다. 산화 초기의 접착력 증가는 산화로 인한 EMC에 대한 젖음성의 증가와 기계적 고착 효과의 증가에 기인하였다. 리드프레임과 EMC의 파괴 표면에 대한 AES, XPS 분석으로 부터, 산화막의 두께가 얇을 때에는 Cu$_{2}$O//CuO의 계면 파괴 + EMC 자체 파괴가 복합적으로 발생함을 알 수 있었다. 반면에 과도한 산화로 낮을 접착력을 나타내는 시편은 Cu/Cu$_{2}$/O 계면의 파괴를 나타냈다.

Keywords

References

  1. Proc. of 23rd IEEE International Reliability Physics Symposium I.Fukuzawa;S.Ishiguro;S.Nanbu
  2. Proc. of 39th Electronic Components Technol. Conf. O.Yoshioka;N.Okabe;S.Nagayama;R.Yamagishi
  3. IEEE Trans. on Components, Hydrids, and Manufac. Technol. v.14 S.Kim
  4. Proc. of 44th Electronic Components Technol. Conf. H.Ohsuga;H.Suzuki;T.Aihara;T.Hamano
  5. J. Adhesion Sci. Technol. v.10 S.I.Asai;T.Ando;M.Tobita
  6. J. Adhesion v.40 B.J.Love;P.F.Packman
  7. J. Adhesion v.16 S.Yoshida;H.Ishida
  8. J. Adhesion v.36 H.Ishida;K.Kelly
  9. Proc. of the 1995 Int. Symposium on Microelectronics S.H.Ahn;H.G.Yoon;S.Y.Oh
  10. Eur. Polym. J. v.4 K.Bright;B.W.Malpass
  11. Plating and Surface Finishing v.73 T.A.Tam;R.D.Robinson
  12. J. Adhesion v.10 D.E.Packham;K.Bright;B.W.Malpass
  13. Proc. of 45th Electronic Components Technol. Conf. C.T.Chong;A.Leslie;L.T.Beng;C.Lee
  14. Nature v.139 U.R.Evans;H.A.Miley
  15. Appl. Surface Sci. v.17 M.S.Hegde;T. S. Sampath Kumar;R.M.Mallya
  16. Chem. B v.40 C.Wagner;K.Grunewald;Z.Physik
  17. Acta Metall. v.4 K.R.Lawless;A.T.Gwathmey
  18. Oxidation of Metals v.8 G.J.Yurek;J.P.Hirth;R.A.Rapp
  19. J. of Materials Science v.15 A.J.Kinlo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