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ies on the Ta-Si-n Barrier Used for Cu Interconnection

Cu배선을 위한 Ta-Si-N Barrier에 관한 연구

  • Sin, Yeong-Hun (Dept.of Metallurgical Engineering, Inha University) ;
  • Kim, Jong-Cheol (Research & Development Division, Hyundai Electronics) ;
  • Lee, Jong-Mu (Dept.of Metallurgical Engineering, Inha University)
  • Published : 1997.06.01

Abstract

Cu는 AI보다 비저항이 더 낮고, 일렉트로마이그레이션 내성이 더 강하기 때문에 AI을 대체하여 사용될 새로운 상부배선 재료로 널리 연구되고 있다. 그러나 Cu는 SiO$_{2}$층을 통해 Si기판 속으로 확산하는 것과 같은 열적불안정성을 갖고 있으므로 Cu 배선을 위해서는 barrier금속을 함께 사용해야 한다. 지금까지 알려진 가장 우수한 재료는 TaSi$_{x}$N$_{y}$이다. Tasi$_{x}$N$_{y}$는 90$0^{\circ}C$에서 불량이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으나, 그것의 barrier특성과 관련하여 확인하고 또 새로 조사되어야 할 내용들이 많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반응성 스퍼터링 테크닉을 사용하여 (100)Si 웨이퍼상에 TaSi$_{x}$N$_{y}$막을 증착하고, Cu에 대한 barrier재료로서 반드시 갖추어야 할 열적 안정성을 면저항의측정, X선 회절 및 AES 깊이분석 등에 의하여 조사하였다. 스퍼터링 공정에서 N$_{2}$/Ar기체의 유량비가 15%일때 열적 안정성이 가장 우수한 TaSi$_{x}$N$_{y}$막이 얻어졌다. Ta와 TaN은 각각 $600^{\circ}C$$650^{\circ}C$에서 불량이 발생하는 반면, TaSi$_{x}$N$_{y}$는 90$0^{\circ}C$에서 불량이 발생하였다. TaSi$_{x}$N$_{y}$의 불량기구는 다음과 같다:Cu는 TaSi$_{x}$N$_{y}$막을 통과하여 TaSi$_{x}$N$_{y}$/Si계면으로 이동한 다음 Si기판내의 Si원자들과 반응한다. 그 결과 TaSi$_{x}$N$_{y}$Si가 생성된다.

Keywords

References

  1. J. Electrochem. Soc. v.133 no.6 J.D.McBrayer;R.M.Swanson;T.W.Sigmon
  2. Japanese J. Appl. Phys. v.27 no.10 S.Sadamitsu;S.Sumita;N.Fujino;T.Shiraiwa
  3. J. Electrochem. Soc. v.130 no.8 G.C.Schwartz;P.M.Schaible
  4. IEEE VMIC Proc. P.L.Pai;C.H.Ting
  5. Advanced Metalliation for ULSI Applications 1992 J.Li;P.F.Chapman;F.Goodwin;Y.Schacham Deamand;J.W.Mayer;T.S.Cale(ed.);F.S.Pintchovski(ed.)
  6. MRS Bulletin v.ⅩⅨ no.8 S.Q.Wang
  7. Mater. Sci. Rep. v.9 J.Li;Y.Schacham-Deamand;J.W.Mayer
  8. J. Appl. Phys. v.70 E.Kolawa;J.S.Chen;J.S.Reid;P.J.Pokela;M.A.Nicol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