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s of the Pressure Carbonization on the Preparation Process of Carbon/Carbon Composites from Coal Tar Pitch

석탄계 핏치로 부터 탄소/탄소 복합재를 제조하는 공정중 가압탄화의 효과

  • Oh, In-Seok (Dept. of Polymer Science and Engineering, C.N.U.) ;
  • Kim, Jung-Il (Dept. of Polymer Science and Engineering, C.N.U.) ;
  • Nam, Yun-Sun (Dept. of Polymer Science and Engineering, C.N.U.) ;
  • Joo, Hyeok-Jong (Dept. of Polymer Science and Engineering, C.N.U.) ;
  • Kim, Sung-Jae (Agency for Defense Development) ;
  • Kim, Kwang-Soo (Daewoo Heavy Industries LTD., Aerospace R &D Center)
  • 오인석 (충남대학교 공과대학 고분자공학과) ;
  • 김정일 (충남대학교 공과대학 고분자공학과) ;
  • 남윤선 (충남대학교 공과대학 고분자공학과) ;
  • 주혁종 (충남대학교 공과대학 고분자공학과) ;
  • 김성재 (국방과학연구소) ;
  • 김광수 (대우중공업 우주항공연구소)
  • Published : 1997.05.01

Abstract

석탄계 핏치의 열처리 온도 및 압력에 따른 결정화도와 기공도 그리고 산화저항성 등을 관찰하였으며, hexagonal type 4D 탄소/탄소 복합재를 석탄계 핏치로 가압함침 및 탄화시킨 다음 가해준 압력이 고밀도화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다. 석탄계 핏치의 가압탄화 압력이 흑연화도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기공면적비에 있어서는 압력을 600bar로 상승시켜 줌으로써 상압 처리한 경우 보다 1.5배 정도 감소 하였다. $650^{\circ}C$까지 열처리하여 얻은 코우크스의 산화반응 개시온도는 처리압력이 증가함에 따라서 지연되었다. 탄소/탄소 복합재의 함침압력을 100bar에서 600bar로 상승시켜 줄 경우 밀도 증가율이 크게 향상 되었으며 기공도는 감소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Ling Temco vought Technical Documentation report B.A. Forcht;J.L. Haviland;A.R. Kinney
  2. carbon v.25 no.2 E. Fizer
  3. carbon v.7 E. Fitzer;S. Yamada;W. Schaffer
  4. In Proceeding of Army Sumpsiun on Solid Mechanics J. Jortner
  5. Proc 4th Int. conf. on carbon and Graphite, (London) E. Fitzer;K.J. Huttinger;H. Tillmanns
  6. Prepr. 12th Biennal Conf. on Carbon, (Pittsburgh) K.J. Huttinger;U. Rosenblatt
  7. Carbon v.21 J.H. Cramner;I.G. Plotzker;L.H. Peebles.Jr.;D.R. Uhlmann
  8. Mat.Sci.& Eng v.A143 Effect of pressure carbonization in the C/C composite process T.Hosomura;H.Okamoto
  9. 한국재료학회지 v.5 no.5 4방향성 탄소/탄소 복합재의 열충격및 삭마 특성 주혁종(외 4인)
  10. ASTM C 373-88
  11. 한국복합재료학회춘계학술 발표대회 논문집 4D 탄소/탄소 복합재의 제조및 물성 주혁종(외4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