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주파 마그네트론 반응성 스퍼터링에 의해 제조한 $\textrm{TiO}_2$박막의 미세조직과 광학적 특성

The microstructure and optical properties of $\textrm{TiO}_2$ thin film by rf magnetron reactive sputtering

  • 노광현 (전남대학교 공과대학 금속공학과) ;
  • 박원 (전남대학교 공과대학 금속공학과) ;
  • 최건 (전남대학교 공과대학 금속공학과) ;
  • 안종천 (전남대학교 공과대학 금속공학과)
  • Ro, Kwang-Hyun (Dept. of metallurgical engineering at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 Park, Won (Dept. of metallurgical engineering at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 Choe, Geon (Dept. of metallurgical engineering at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 Ahn, Jong-Chun (Dept. of metallurgical engineering at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발행 : 1997.01.01

초록

고주파 마그네트론 반응성 스퍼터링(rf magnetron reactive sputtering)으로 티타늄산화물 박막을 제조하여 산소비율에 따른 반응성 스퍼터링의 증착기구를 조사하고 산소비율 및 기판온도에 따른 산화물 조성의 변화, 미세조직, 광학적 특성의 변화를 연구하였다. 기존의 진공기상증착법으로 증착만 박막에 비해, 금속타겟을 사용하여 높은 증착속도를 얻을 수 있는 반응성 마그네트론 스퍼터링으로 성막한 티타늄산화물 박막은 치밀도가 우수하여 높은 굴절률(2.06)과 높은 광투과율을 보였다. 상온에서 성막된 티타늄 산화물박막의 경우, 산소비율이 낮은 조건에서는 다결정형의조직을 보였으나 산소비율이 높은 경우에는 비정질조직을 나타냈으며, 기판온도가 30$0^{\circ}C$ 이상에서는 산소비율에 상관없이 다결정형의 조직을 나타냈다. 하지만 산소비율이 임계값이상에서는 박막의 조성, 증착속도 등이 거의 변하지 않는 안정된 증착조건을 보였다. 30% 이상의 산소비율의 반응성 스퍼터링의 조건에서는 TiO$_{2}$의 조성의 박막으로 성장하여 약 3.82-3.87 eV의 band gap을 나타냈으며 기판온도의 증가에 따라 비정질 TiO$_{2}$에서 다결정 TiO$_{2}$으로 조직의 변화를 보여 광투과도도 약간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키워드

참고문헌

  1. Thin Solid Films v.207 K. A. Vorotiov;E. V. Orlova;V. I. Petrovsky
  2. Thin Solid Films v.219 L. Hu;T. Yoko;H. Kozuka;S. Sakka
  3. Appl. Opt. v.15 H. K. Pulker;G. Paesold;E. Ritter
  4. Thin Solid Films v.223 G. Atanassov;R. Thielch;D. Popov
  5. Thin Solid Films v.204 J. P. Lu;J. Wang;R. Raj
  6. Thin Solid Films v.147 S. R. Kurtz;R. G. Gordong
  7. J. Vac. Sci. Technol. v.40 A. R. Nyalesh;L. Holland
  8. J. Appl. Phys. v.62 M. M. Yang
  9. Thin Solid Films v.40 K. G. Geraghty;L. F. Donaghey
  10. Thin Solid Films v.226 L. Meng;M. P. dos Santos
  11. Thin Solid Films v.223 L. Meng;M. Andritschky;M. P. dos Santos
  12. J. Phys. E. v.16 R. Swanepoel
  13. Thin Solid Films v.72 A. Mjorstsberg;I. Hamberg;C. G. Granquist
  14. 대학금속학회지 v.31 no.11 최건
  15. J. Appl. Phys. v.64 A. P. Valanju;I. S. Jeong;D. T. Kim;R. M. Walser
  16. Thin Solid Films v.176 N. N. Rao;M. A. Murthy;S. Mohan
  17. J. Vac. Sci. Technol. v.2 E. Ritter
  18. J. Electrochem. Soc. v.123 K. G. Geraghty;L. F. Donagh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