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s of Addition Gases(Hydrogen and Nitrogen Gas) of Diamond-like Carbon Films Deposited by RF PECVD)

RF PECVD로 증착된 다이아몬드상 탄소막의 보조가스 첨가의 영향

  • Choi, Woon (Dept. of Metallurgical and Materials Science, Hong Ik University) ;
  • Kim, Hyoung-June (Dept. of Metallurgical and Materials Science, Hong Ik University) ;
  • Nam, Seoung-Eui (Dept. of Metallurgical and Materials Science, Hong Ik University)
  • 최운 (홍익대학교 금속.재료공학과) ;
  • 김형준 (홍익대학교 금속. 재료공학과) ;
  • 남승의 (홍익대학교 금속.재료공학과)
  • Published : 1997.01.01

Abstract

DLC막은 여러가지 기술적인 응용에 매우 기대된느 재료이다. 탄화수소 가스의 플라즈마 분해에 의해 증착되는 DLC 막은 높은 경도, 화학적 안정성, 높은 전기 저항성, 적외선 영역의 투과성 등의 여러가지 우수한 성질을 지니고 있다. 그러나 이들막은 높은 내부응력으로 인하여 실제 응용에 상당한 제약을 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rf PECVD 법에 의해 합성된 다이아몬드상 탄소막을 보조가스 첨가에 따른 영향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수소가스를 첨가하여 합성된 DLC막의 잔류응력 거동은 낮은 이온 에너지 (V$_{b}$ $P^{1}$2/-20Volt/m Torr)에서 최대 잔류응력이 발생되지만, 질소 가스를 첨가시키면 높은 이온(V$_{b}$ P$_{1}$2/->70Volt/m Torr)에너지 영역에서 잔류응력의 감소가 나타났다. 수소 량이 증가하면 ion bombardment와 식각 작용을 하고, 질소의 경우 막의 표면 스퍼터링 현상이 발생되었다. 보조가스 첨가에 따라 S$P^{3}$net work구조의 생성과 소멸의 결합 구조를 형성하여, 보조가스 첨가는 DLC막의 잔류응력 거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온 에너지에 따른막의 비저항은 막 합성 공정 조건에 관계없이 $10^{6}$-$10^{7}$ Ωm 의 범위에서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메탄가스(rf PECVD)로 합성된 DLC막의 비저항과 거의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J. Appl. Phys. v.67 L.W. Zou;K. Schmidt;K. Reichet;B. Dischler
  2. Thin Solid Films v.86 L.P. Anderson
  3. J. Appl. Phys. v.59 J. Wanger;P. Lautenchlager
  4. Appl. Phys. Commun. v.8 T. Datta;J.A. Woollam;W. Notohamiprodjo
  5. Thin Solid Films v.80 K. Knke
  6. Thin Solid Films v.120 G. Gille;B. Rau
  7. Thin Solid Films v.148 D.B. Kerwin;I.L. Spain;R.S. Robinson;B. Daudin;M. Dubus;J. Fontenille
  8. J. Vac. Sci. Technol. A v.4 D. Nir
  9. Appl. Phys. Lett v.60 D.F. Franceschini;C.A. Achete;F.L. Freier, Jr.
  10. Phys. Rev. B. v.29 J.H. Kaufman;S. Metin;D.O. Saperstein
  11. J. Mater. Res. v.5 C.J. Torgn;J.M. Sivertsen;J.H. Hudy;C. Chang
  12. Thin Solid films v.258 P. Wood;T. Wydeven;O. Jsuji
  13. J. Vac. Sci. Technol. A v.9 G.V. Vandentop;M. Kawasaki;K. Kobay-sashi;G.A. Somorjai
  14. Thin solid Films v.236 Y. Suefuji;Y. Nakamura;Y. Watanabe;S. Hirayama;K. Tamaki
  15. Ph. D. Thesis W. Choi
  16. J. Phys. D v.23 A. Tabata;S. Fujii;Y. Suzuoki;T. Mi-zuami;M. Ieda
  17. Thin Solid Films v.241 G. Mariotto;F.L. Feire, Jr.;C.A. Achete
  18. Thin Solid Films v.118 J.C. Angus;J. Stuitz;P. Schiller;J. McDonald;M.J. Mirtich;S. Domitz
  19. Thin Solid Films v.L5 C. Weissmantel;C. Schuter;F. Frohilch;P. Grau;H. Lehmann
  20. Plaama Deposited thin Films v.89 J.C. Angus;P. Koidl;S. Domitz;J. Mort(ed.);F. Jansen(ed.)
  21. J. Vac. Sci. Technol. A v.5 H. Tsai;D.B. Bogy
  22. Phys. Rev. B v.30 D. beeman;J. Silverman;R. Lynds;M.R. Anderson
  23. Phys. Rev. B v.29 R.O. Dillon;J.A. Woollman;V. Katkan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