生長調節劑 , 溫度 및 光이 취나물류의 種子發芽에 미치는 影響

Effects of Growth Regulators, Temperature, and Light on the Germination in Wild Vegetable (Chwinamul) Seeds

  • 발행 : 1997.03.01

초록

몇가지 생장조절제, 온도 및 광 조건의 차이에 의한 취나물류(참취, 개미취, 수리취 미역취 곰취)의 발아특성을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수리취는 암조건에서, 곰취, 참취, 개미취, 미역취는 명조건에서 발아율이 더 높았다. 2. 생장조절제를 처리한 종자는 명조건에서 참취를 제외한 4종의 발아율이 2-10% 향상되었다. 생장조절제 가운데 BA가 가장 효과적이었으며 무처리에 비하여 수리취에서 33%, 곰취에서 20%, 개미취에서 7% 발아율을 향상시켰다. 2. 명조건에서 발아일수는 곰취가 14일로서 가장 길었고 수리취 10일, 개미취 8일, 참취 7일, 미역취 5일 순이었다. 무처리에 비하여 생장조절제 처리구에서는 곰취, 참취, 미역취에서 각각 1일씩, 개미취와 수리취에서 각각 2일씩 단축되었다. 3. 생장조절제를 처리한 종자는 암조건에서 무처리에 비하여 7-29% 발아율이 향상되었으며 BA가 가장 효과적이었다. 4. 무처리에 비하여 암조건의 생장조절제처리구에서는 개미취 (2일), 수리취(1일), 곰취(1일)의 발아일수가 길어진 참취는 5일이 단축되었다. 수리취를 제외한 나머지 4종의 취나물류 종자의 발아일수는 BA처리에서 1-5일 단축되었다. 5. 참취는 $10^{\circ}C$, 수리취와 곰취는 $15^{\circ}C$, 개미취와 미역취는 $25^{\circ}C$에서 가장 높은 발아율을 나타냈으며 발아에 효과적인 BA의 적정 농도는 수리취가 200ppm, 곰취와 개미취가 100-150ppm, 참취가 100ppm이었고 미역취는 BA농도에 따른 발아율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growth regulators, temperature, and light on the germination of Chwinamul(Aster scaber, Aster tataricus, Synurus deltoides, Solidago virga-aurea var. asiatica, Ligularia fisheri) seeds. Compared to GA, IAA, and kinetin, BA (150ppm) stimulated best seed germination of all five species under the both light and dark condition at $25^{\circ}C$. The effect of growth regulators was not observed significantly under the light condition except of Ligularia fisheri and Synurus deltoides while it was shown markedly under the dark condition. Germination rates of Ligularia fisheri and Synurus deltoides in different concentration of BA were relatively higher under the light at $15^{\circ}C$ while those of other species varied in different concentration and temperature.

키워드

참고문헌

  1. 경북농촌진흥원 시험연구보고서 자생식물의 작물화 연구 권태룡;조지형;권영석;이승필
  2. 농업논문집 v.35 no.2 유망산채류 종자의 휴면타파 및 발아촉진 방법에 관한 연구 권태룡;조지형;권영석;이승필;최부술
  3. 농업논문집 v.37 no.1 울릉도 취나물의 내륙적응 재배기술 개발에 관한 연구 권태룡;김상국;민기군;조지형;이승필;최부술
  4. 경북진흥원 시험보고서 자생식물 신소득 작물화 연구 김상국;민기군
  5. 농업논문집 v.37 no.1 육묘기간과 정식기가 미역취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김창배;이현숙;김창길;윤재학;최부술
  6. 내고장새기술 개발 사업보고서 대구 팔공산 자생취나물 생산기술 확립 농촌진흥청
  7. 한원지 별책 2호 다양한 산채종자의 발아특성 및 저온처리가 발아에 미치는 영향 박권우;박광우;이윤정;최호성
  8. 한원지 별책 2호 Priming처리가 몇 가지 산채종자의 발아에 미치는 영향 박권우;박광우;이윤정;양은미
  9. 동양자원식물학회지 v.7 no.1 참취의 종자발아에 관한 연구 박석근;양무희
  10. 산야초의 이해 박철호;안상득;장병호;함승시
  11. 농업논문집 v.36 no.2 참나물의 고랭지 비가림재배시 차광망 처리별 생육 및 수량 서종택;김원배;유승열;최관순;김병현;김정간;한병희
  12. 농업논문집 v.38 no.2 곰취의 겨울재배시 저온경과 시간 및 GA3 엽면산포농도가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서종택;김원배;유승열;김병현;김정간
  13. 충북대학 농업과학 연구보고 v.1 발아촉진처리가 산나물 종자발아에 미치는 영향 이중기;조진태
  14. 농촌진흥청 표준영농교본 산채류재배 조진태;이두원
  15. 종자휴면과 발아의 생리생화학 정삼택
  16. 농업논문집 v.38 no.2 차광망 처리에 따른 취나물의 생육 및 수량 홍정기;방순배;한종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