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tablishment and Growth of Different-aged Aster scaber Thunb. Seedlings in Mountainous Areas

苗齡을 달리한 참취종묘의 山地 활착 및 초기생육

  • Published : 1997.03.01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 of locations and nursing days on the cstablishment and the first-year growth of Aster scaber seedlings in mountainous areas. Survival rates of the seedlings ranged from 72% in Bukbang to 27% in Mt. Yeonyup B. Survival rate of 90 days-seedlings was 65%. 150days-and 120days- seedling had 2 or 3 leaves but it was almost same as that of native plants. The plants grown in Mt. Yeonyup A averaged 10.7cm high and 90 days-seedlings grew best. Dry weight of plants grown from 120 days- and 90days- seedlings was respectively 215mg and 205mg.

참취의 효율적인 산지재배기술을 확립하기 위하여 묘령에 따른 참취종묘의 산지 활착력과 정식 당해년도의 초기생육 양상을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180일 생육 후 조사한 지역별 최종활착율은 북방에서 가장 높았고(72%) 고도가 높은 연엽산 지역(A, B)에서 $27\sim45%$로 비교적 낮았다. 묘령별로는 48-65% 범위의 활착율을 보였으며 90일묘가 65%로 가장 활착율이 높았다. 2. 엽수는 지역간에 묘령별로 다소 차이가 있었으나 연엽산 B지역을 제외하고 평균 $1.9\sim24$매였으며 자생참취의 엽수와 거의 같았다. 묘령별로는 150일묘와 120일묘가 평균 2.3매로 엽수가 가장 많았으나 자생참취(2.2매)와 거의 같았다. 3. 초장은 연엽산 A지역에서 정식하여 생장한 참취가 가장 길었으며(10.7cm), 자생참취는 대룡산지역의 참취가 가장 길었다(25.3cm). 묘령별로는 90일묘가 초장이 가장 길었으나 자생 참취의 평균초장에 비하여 절반정도에 불과하였다. 4. 지역별 건물중은 연엽산 A지역에서 가장 높았고 연엽산 B지역이 가장 낮았다. 묘령별로는 120일 묘와 90일 묘가 평균 215mg과 205mg으로 양호하였으며 60일묘가 93mg으로 가장 낮았다.

Keywords

References

  1. 농업논문집 v.37 no.1 울릉도 취나물의 내륙적응 재배기술개발에 관한 연구 권태룡;김상국;민기군;조지형;이승필;최부술
  2. 강원 농시년보 산채류 촉성 및 연화재배법 확립 김인종;김정옥;홍정기
  3. 농업논문집 v.37 no.1 육묘기간과 정식기가 미역취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김창배;이현숙;김창길;윤재학;최부술
  4. 내고장새 기술개발 사업보고서 대구 팔공산 자생취나물 생산기술 확립 농촌진흥청
  5. 강원도 농촌진흥원 평창산채시험장 농축산물 수입개방대응 산채의 개발방안 심포지움논문집 산지를 활용한 산채재배전망 박철호;이근수
  6. 농업논문집 v.38 no.2 곰취의 겨울재배시 저온경과시간 및 GA3 엽면살포농도가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서종택;김원배;유승렬;김병현;김정간
  7. 농업논문집 v.36 no.2 참나물의 고랭지 비가림재배시 차광망 처리별 생육 및 수량 서종택;김원배;유승렬;최관순;김병현;김정간;한병희
  8. 월간 상업농 no.12월 민속채소 육성방안 정경진
  9. 농촌진흥청 표준영농교본 산채류 재배 조진태;이두원
  10. 농업논문집 v.38 no.2 차광망 처리에 따른 취나물의 생육 및 수량 홍정기;방순배;한종수
  11. 산야초의 이해 박철호;안상득;장병호;함승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