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bor Force Withdrawal And Entry (Surrounding First Birth of Married Women)

출산을 전후한 시기 여성의 노동시장 이탈과 진입 (미국 기혼여성의 경우)

  • 장지연 (서울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사회발전연구소)
  • Published : 1997.12.01

Abstract

This study contributes to understanding women's labor market behavior by focusing on a particular set of labor force transitions - labor force withdrawal and entry during the period surrounding the first birth of a child. In particular, this study provides a dynamic analyses, using longitudinal data and event history analysis, to conceptualize labor force behaviors in a straightforward way. The main research question addresses which factors increase or decrease the hazard rates of leaving and entering the labor market. This study used piecewise Gompertz model, following the guide of the non-parametric analysis on the hazard rates, which allowed relatively detailed description on the distribution of timing of leave and entry to the labor market as parameters of interest. The results show that preferences and structural variables, as well as economic considerations, are very important factors to explain the labor market behavior of women in the period surrounding childbirth.

이 논문은 출산을 전후한 시기에 있는 여성의 노동시장 전출입(labor market transitions)에 관한 필자의 일련의 연구들 중 일부이다. 여성 노동시장에 관한 기존의 이론들을 통합하여 하나의 모델을 제시하고, 노동시장 이탈과 진입의 문제를 다루는 데 적합한 통계적 기법을 소개하였다. 상당수의 여성이 일생을 통하여 적어도 한번씩은 생산노동에 참여하는 현실 속에서 이제 중요한 문제는 노동의 지속과 단절의 문제이다. 이 문제는 여성의 노동시장행위에 대한 동태적인 분석을 요구한다. 본 연구는 응답자의 취업사(work history)와 가족형성사를 장기적으로 관찰한 자료를 이용하고 시간 또는 기간이라는 측면을 분석의 틀에 포함시킨 연구방법을 사용하여 노동의 지속과 단절을 좀더 원래의 개념에 충실하게 포착하였다. 탐색적 분석방법으로 출산을 전후한 시기 여성의 고용단절과 재취업의 행위가 각각 임신, 출산으로부터의 기간에 따라 어떤 패턴으로 나타나는지 살펴보았다. 이 시기 여성의 노동시장 이탈과 진입의 행위는 시간에 따라 일정하게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추세를 띠고 있지 않으므로 '사건사분석'(event history analysis)에서 '기간의존성'(duration dependence)을 가정할 때 특별한 주의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탐색적 분석에서 드러난 노동시장행위의 패턴이 어떤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가설을 세우고 이를 검증하였다. 가족의 수입과 자신의 임금에 대한 경제적 고려 외에 교육을 통해 얻게 되는 경제적 독립과 평등한 성역할에 대한 의지, 그리고 거시적인 경제 여건과 직업의 특성에 의해 조건지워지는 구조적 요인 등을 살펴봄으로써 '인적자본론'의 한계를 짚어 보았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