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eological Structure of Precambrian to Paleozoic metasedimentary rocks in the Janggunbong area, Korea-Crustal evolution and environmental geology of the central part of the North Sobaegsan massif, Korea-

장군봉지역 선캠브리아대-고생대 변성퇴적암류의 지질구조-북부 소백산육괴의 중앙부지역의 지각진화와 환경지질

  • 강지훈 (안동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
  • 김형식 (고려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
  • 오세봉 (안동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 Published : 1997.12.01

Abstract

The Janggunbong area(this study area) at the central-south part in the North Sobaegsan Massif, Korea, consists mainly of Precambrian(Wonnam and Yulri Formations)-Paleozoic [Joseon Supergroupuangsan Quarzite, Dueumri Formation and Janggun Limestone) and Pyeongan Group (Jaesan and Dongsugok Formations)l metasedimentary rocks and Mesozoic granitoid(Chunyang granite). This study is to interpret geological structure of the North Sobaegsan Massif in the Janggunbong area by analysing rock-structure and microstructure of the constituent rocks. It indicates that its geological structure was formed at least by four phases of deformation after the formation of gneissosity(S0) in the Wonnam Formation and bedding plane(S0) in the Paleozoic metasedimentary rocks. The first phase deformation(D1) formed tight isoclinal fold(F1). Its axial plane(S1) strikes east-west and steeply dips north. Its axis(L1) subhorizontally plunges east-west. The second phase deformation(D2), which was related to ductile shear deformation, formed stretching lineation(L2) and shear foliation(S2). The sense of the shear movement indicates dextral strike-slip shearing(topto-the east shearing). The third phase deformation(D3) formed open inclined fold(F3). Its axial plane(S3) strikes east-west and moderately or gently dips north. Its axis(L3) subhorizontally plunges east-west. The F3 fold reoriented the original north-dipping S1 foliation and D2 shear sense into south-dipping S1 foliation(top-to-the west shear sense on this foliation) at its a limb. The four phase of deformation(D4) formed asymmetric-type open inclined fold(F4) of NE-vergence with NW striking axial plane(%) and NW-NNW plunging axis(L4). The F4 fold partly reoriented pre-D4 structural elements with east-west trend into those with north-south trend. Such reorientaion is recognized mainly in the Paleozoic metasedimentary rocks.

북부 소백산육괴의 중남부에 위치하는 장군봉지역(본 연구지역)은 선캠브리아대 변성퇴적암류(원남층과 율리층)와 고생대 변성퇴적암류[조선누층군(장산규암, 두음리층, 장군석회암)과 평안층군(동수곡층과 재산층)] 그리고 중생대 화강암류(춘양화강암)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논문은 장군봉지역에서 북부 소백산육괴의 지질구조를 해석하기위해 구성암류의 암석구조와 미세구조를 연구하였다. 그 결과 연구지역의 지질구조는 선캠브리아대 원남층의 편마면(S0)과 고생대 변성퇴적암류의 층리면(SO)이 형성된 이후 적어도 네 번의 변형단계(D2 연성전단변형 이전에 한 번의 습곡작용과 D2 연성전단변형 이후에 적어도 두 번의 습곡작용)를 거쳐 형성되었음을 알게 되었다. 첫 번째 변형(D1 변현)은 동-서 방향의 준 수평적인 습곡축(L1)과 동-서 주향에 북쪽으로 고각 경사하는 습곡축면(S1)을 갖는 밀착 등사습곡(tight isoclinal fold) (F1 습곡)을 형성시켰다. 두 번째 변형(D2 변형)은 전단엽리면(S2)의 상부가 동쪽으로 이동한 전단감각(top-to-the east shear sense)을 보이는 우수 주향 이동성 대규모 연성전단운동 발생기로서 이러한 D2 연성전단변형에 의해 신장선구조(L2)가 S2 전단엽리면상에 형성된다. 세 번째 변형(D3 변형)은 도-서 방향의 준 수평적인 습곡축(L3)과 동-서 주향에 북쪽으로 저각 내지 중각 경사하는 습곡축면(S3)을 갖는 열린 경사습곡(open inclined fold) (F3 습곡)을 형성시켰다. 그 결과 원래 북쪽으로 경사하는 S1 엽리면은 F3 습곡의 한쪽 날개부에서 남쪽으로 경사하게 되고, 원래의 D2 전단감각은 재 배열된 남쪽 경사 S1 엽리면상에서 상부가 서쪽으로 이동한 전단감각을 보이게 된다. 네 번째 변형(D4 변형)은 북북서 내지 북서 방향으로 침강하는 습곡축(L4)과 남서 방향으로 경사하는 습곡축면(S4)을 갖는 북동 버전스의 비대칭형 열린 경사습곡(F4 습곡)을 형성시켰다. 그 결과 동-서 방향성을 보이는 D4 변형 이전의 구조요소들은 부분적으로 남-북 방향성으로 재배열된다. 이러한 변형의 효과는 고생대 변성퇴적암류에서 주로 인지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