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elopment of Liquefied Seasoning Material from Cockle Shell By-Product

새조개 가공부산물을 이용한 액상 조미료 소재 개발

  • 배태진 (여수수산대학교 식품공학과) ;
  • 강훈이 (여수수산대학교 식품공학과, 여수수산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순천공업전문대학 여성교양과, 여수수산대학교 식품공학과)
  • Published : 1997.12.01

Abstract

A liquefied seasoning material was manufactured by using the enzymatic hydrolysis for the benefit of highly effective utilization of cockle shell by-product, and their quality was investigated. The weight ratio of by-product to whole cockle shell was 32.7%, and the contents of moisture and crude protein in the raw cockle shell by-product were 83.1% and 10.7%, respectively. The optimal concentrations of protease such as Protease N. P.(Pacific Chemical Co.) and Alcalase(Noo co), used in order to reduced the hydrolysis period, were effective at 4%(w/w), and optimal hydrolyzing time was 8 hours and after 8 hours were little changed. To improve flavor of the liquefied seasoning material, by Maillard reaction used thermal treatment, addition of glucose was very effective. And addition in hydrolysate with 10% glucose, 9% table salt, 2% starch and 0.5% caramel were suitable for promotion of taste. Total nitrogen and amino type nitrogen in the product were 1,607mg% and 1,264mg%, respectively. And the ratio of amino type nitrogen to the total nitrogen was 78.6%. The major free amino acid were glutamic acid, lysine, leucine, valine and aspartic acid, and content of glutamic acid was 1,027.5mg%.

주로 남해안의 천수만에서 많이 어획되는 새조개의 이용으로는 여체부의 긴발을 약간 데친 후동결하여 주로 수출하고 있으나, 그외 나머지 부분은 폐기되거나 사료로 이용되는 것으로 식량자원으로서 이용율이 매우 낮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새조개 연체부의 긴발을 제외한 나머지인 가공부산물을 효과적으로 이용하기 위한 한 방안으로서 효소를 이용한 액상조미료 제품의 속성 제조와 품질개선에 관하여 검토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새조개 전체 육중량에 대하여 연체부의 긴발을 제외한 부산물의 중량비는 32.7%였으며, 수분 함량은 83.1%, 조단백질 함량은 10.7%였다. 새조개 부산물의 가수분해 시간을 단축시키기 위하여 첨가한 효소인 Alcalase 및 Protease N.P. 모두가 가수분해 초기에 급격한 분해를 보여 가수분해 8시간까지 꾸준히 증가하였고, 그 이후 20시간까지는 거의 변화를 보이지 않았으며 적정 첨가농도는 4.0%였다. 새조개 가공 부산물을 이용한 액상 조미료의 풍미개선을 위하여 glucose를 첨가하여 가열에 의한 Maillard 반응을 이용하였을 때 냄새의 개선에 상당히 효과적이었으며, 기호성 증진을 위하여 가수분해물의 여액에 0.5% 첨가가 관능적으로 적당하였다. 최종제품의 품질로서 전질소량이 1,607mg%, 아미노질소량은 1,264mg%으로 원료에서의 질소이행율은 93.9%로 매우 높았으며, 제품의 총질소량에 대하여 아미노질소량이 차지하는 비율은 78.6%였다. 그리고 우리아미노산은 glutamic acid가 1,027.5mg%로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lysine, leucine, valine 및 aspartic acid 순으로 함량이 높았고, tryptophan, cystine, histidine 및 serine 순으로 함량이 적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