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배란-난자 및 자궁기능

Superovulation-Oocyte and Uterine Function

  • 문영석 (브리티쉬 콜롬비아 대학 산부인과)
  • 발행 : 1997.02.01

초록

외인성 성선자극 호르몬에 의한 과배란처리는 난모세포의 질, 수정, 배발달, 착상, 임신유지 등에 해로운 영향을 수반하는 광범위한 배란전후의 호르몬 분비이상을 야기한다. 최근 본 연구에서 흰쥐에서의 IGF-1이 착상전 및 자궁의 환경적 조절에 미치는 잠재적 역할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는 IGF-1이 아마도 탈락막의 조절과 배발달에 적합한 자궁환경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과배란후 배의 손실과 착상의 실패는, 본 연구에서 관찰되었듯이 부분적인 자궁내 IGF-1의 작용저해에 기인하리라 사료된다. 또한 본 연구진들은 생쥐의 배에서 염색체 이상빈도에 대한 과배란을 유도하는 성선자극 호르몬의 영향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PMSG 5, 10 및 15 I.U.를 투여하여 과배란된 생쥐에서 생쥐의 수정란과 8-16 세포기 배의 염색체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수체(aneuploidy), 다배체(polyploidy) 또한 염색체의 구조적 이상은 4개군에서 관찰되었따. 그러나 다배체만이 과배란과 상관관계가 있엇따. PMSG 10, 15 I.U. 처리군에서 다배체 발생율은 각각 2.9%와 10.5%였다. 더욱이 PMSG 용량에 따른 배의 다배체 발생빈도 사이에는 투여량에 따른 상관관계가 확인되었다(P<0.0001). 과배란과 성선자극호르몬은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염색체와 과배란의 정도에는 투여량에 따른 상관관계가 있었다. 과배란된 난모세포의 발달 잠재력은 모축의 내분비적 환경뿐만 아니라 생존에 필요한 내인성 요인들 즉 유전적 상태 그리고 난자의 전체적 성숙등에 연관되어 있다고 사료된다.

Superovulation with exogenous gonadotropins creates a spectrum of pre or periovulatory hormonal changes with subsequent detrimental effects on oocyte quality, fertilization, embryo development, implantation and maintenance of pregnancy. Our recent study determined potential roles for insulin-like growth factor-1 (IGF-1) in uterine environment regulation and preimplant tation in the rat. The evidence indicates that IGF-l may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main tenance of a receptive uterine environment for embryonic development and the regulation of decidualization. Embryonic loss and failure of implantations following superovulation may be partially attributed to disturbances in uterine IGF-l action as observed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superovulatory doses of gonadotropins on frequency of chromosomal a abnormalities of mouse embryos. Chromosome a analysis of mouse zygotes and 8- to 16-cell stage embryos from spontaneously ovulated, 5, 10, and l 15 lU pregnant mare serum gonadotropin (PMSG) superovulated mice was carried out. Aneuploidy, polyploidy and structural chrom- osomal abnormalities were detected among the four groups. However, only polyploidy was correlated with superovulation. In 10 and 15 IV PMSG treated groups, the rate of polypoidy was 2.9% and 10.5%, respectively. Furthermore, there was a dose reponse relationship between the PMSG dose and the incidence of embryonic p polyploidy (P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