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연 축소를 위한 컴퓨터 영상회의 시스템의 시트림 동작 구조 비교

Comparisions of stream activation mechanisms in computer based teleconferencing systems for low delay

  • 이경희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분산멀티미디어연구실) ;
  • 김두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분산멀티미디어연구실) ;
  • 강민규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분산멀티미디어연구실) ;
  • 정찬근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분산멀티미디어연구실)
  • 발행 : 1997.02.01

초록

본 논문에서는 데이크탑 컴퓨터 환경하에서 영상 회의 시스템의 오디오와 비디오 데이타를 입출력하는 하드웨어 및 이를 이용하는 소프트웨어의 고도에 대해 논하고 이를 구현함에 있어 시간 지연 관점에서 스트림의 동작 방식에 대해 분석한다. 영상 회의, 원격 교육, 주문형 비디오 등의 멀티미디어 응용 서비스에 이용되어 질 수 있는 멀티미디어 입출력 처리기인 MuX는 멀티미디어 데이타의 입출력, 동기화, 접합, 분리 ,합성 등에 대한 다양한 처리 요소를 제공한다. 본 논문은 이를 조합하여 영상 회의를 구현하는 방법에 대해 기술하며, 오디오, 비디오 등의 스트림의 동작 방식을 Master click과 자체 시계를 이용하는 방식을 비교한다. 오비디오, 비디오, 스트림의 출발점 이 되는 입력부에서는 자체 시계를 이용한 방식이 Master clock을 이용하는 경우, 주기적인 요소 오디오 스트림을 채널 객체의 자체 시계로 이용하는 것이 Master clock 을 이용하는 것보다 오디오 스트림의 전송에는 지연을 줄이는 효과는 있으나 비디오 스트림의 경우에는 큰 영향을 주지 못 함을 보였다.

In this paper, we present a hardware architecture and a sofrware architecture for cimputer based teleconferencing systems.And also we analyse stream adtivation mechanisms for them form the viewpoint of delay. MuX that is a multimedia I/O server provides various processing elements for data I/O, synchronization, interleaving and mixing.We describe methods to build teleconferencing systems with the elements and compares the technique using master click with the techniquie using self clock.In the plase of dta input.the technique using self click is berrer than the technique using master clock.When we generate interleved stream from audio and video stream and activate channel objects by periodic audio stream as activation clock, dealy from imput audio stream to imterleved stream is reduced but delay for video stream is not reduced as much as in the case of audio stream.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