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라즈마 화학증착법의 발전과 응용

Application and Progress of Plasma-assisted Chemical Vapor Deposition Process

  • 발행 : 1997.10.01

초록

화학증착법은 고융점의 경질재료, 고온재료, 고순도와 완벽한 결정성을 필요로 하는 반도체, 초전도체 및 투명전도체 등의 전자재료의 제조와 신소재 개발 등에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1000.deg.C 부근의 고온에서 증착반응이 이루어짐으로 그 응용범위가 제한되어 있다. 이러한 제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증착온도를 낮추기 위한 방법으로 비교적 저온에서 분해가 가능한 금속유기 화합물을 반응물로 사용하여 증착반응 온도를 낮출 수가 있으며, 실제로 III-V 또는 II-VI 반도체 제조에는 금속유기 화합물에 의한 화학증착법을 이용하고 있으나, 고가의 금속유기 화합물을 사용하여야 하며 금속유기 화합물의 불안정성, 유독성 때문에 사용에 제한을 받고 있다. 최근에는 플라즈마를 부수에너지원으로 공급하여 줌으로써 증착반응의 온도를 더욱 낮추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키워드

참고문헌

  1. v.17 K.T. Rie;Th. Lampe;S. Straemke;Z. Werksotofftechn
  2. Thin Solid Films v.139 M.R. Hilton;L.R. Narashimhan;S. Nakamura;M. Salmerson;G.A. Samorjai
  3. Thin Solid Films v.137 R. Makabe;S. Nakajima;O. Tabata;M. Aoki
  4. Plasma Chemistry and Plasma Processing v.4 Li Shizi;Huang Wu;Yang Hangshu;Wang Zhongshu
  5. Electronical Society 9th Int. Conf. on Chemical Vapor Deposition N. Kikuchi;Y. Oosawa;A. Nishiyama
  6. Haertereitechnische Mitteilung v.41 H.R. Stock;P.Mayr
  7. J. Electrochem. Soc. v.132 W.A.P. Claasen;W.G. J.N. Valkenburg;M.F.C. Willemsen;W.M.V.d. Wijgert
  8. Solid State Technology v.24 no.1 E.P.G.T. Van de Ven
  9. Solid State Technology B.L. Chin;E.P. Van de Ven
  10. Rev. Mater. Sci. v.9 A.R. Reinberg
  11. Thin Film Processes J.R. Hollahan;R.S. Rosler;J.L. Vossen(ed.);W. Kern(ed.)
  12. J. Vac. Sci. Technol. v.16 M.J. Rand
  13. Thin Film Processes H. Yasuda;J.L Vossen(ed.);W. Kern(ed.)
  14. Techniques and Application of Plasma Chemistry J.R. Hollahan;A.T. Bell
  15. Mater. Sci. Eng. v.A139 K.T. Rie;A. Gebauer
  16. 석사학위논문 인치범
  17. paper presented at the ICMCTF Sun K. Kim;T. Wierzchon;R. Sobieck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