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n ulcer and immunoblot patterns by inoculation sites in BALB/c mice infected with Leishmania major

BALB/c 마우스에서 큰리슈만편모충의 감염부위에 따른 궤양형성과 혈청 면역반응

  • 이미정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기생충학교실 및 의학연구원 감염병연구소) ;
  • 이종국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기생충학교실 및 의학연구원 감염병연구소)
  • Published : 1997.03.01

Abstract

The skin ulcer in Leishmcnio mcior infection is known to be variable according to the inoculation sites even in a susceptible host. The present study traced the immunoblot patterns by the site of inoculation and duration of infection in BALB/c mice. L. mqior were subcutaneously inoculated on the nose, footpad, and back of the mice, in a dose of 3 × 106 promastigotes. Sera of the mice were collected every 10 days after inoculation. SDS-PAGE separated soluble protein bands of the promastigotes and immunoblot was carried out with the infection sera. The skin ulcer first appeared on the nose at 15 days, and on the footpad at 17 days after inoculation. The ulcer on the back appeared after 90 days. In the mice with ulcer on the nose or footpad, serum IgG antibody reacted to 202, 139, 98, 83, 81, 67, 65, 62, 59, 54, 52, 42, 26, and 23 kDa bands at 20 days after inoculation. In mice inoculated on the back, however, the immunoblot showed visible reactions with 202, 83, 81 74, 67, 65, 62, 59, 54, 52,20 and 17 kDa bands at 90 days after inoculation. The present result showed that the antigenic protein bands of L. mqior promastigotes were differed by the inoculation site and duration of infection. Since the skin ulcer and the serum antibodies to antigenic bands between 67-52 kDa appeared simultaneously, it is suggested that the serum IgG antibodies may play a role in formation of the skin ulcer in BALB/c mice.

BALB/c 마우스에서 감염부위와 감염기간에 따른 숙주 체액 면역반응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배양한 큰리슈만편모충의 전편모형(promastigote)을 BALB/c 마우스의 코. 등 발바닥 부위로 나누어 각각 $3{\;}{\times}{\;}10^6$마리씩 피하 감염 후 10-100일 동안에 궤양의 형성과정을 관찰하고 채혈하여 SDS-PAGE와 면역이적법을 시행하여 각 부위별로 나타나는 항체 반응을 관찰하였다. 외관상으로는 감염 15일부터 코에 감염시킨 마우스에서 먼저 궤양이 형성되기 시작하였고. 코에 궤양이 나타난 후 2-3일 뒤에 발에서 궤양이 형성되었으며 등에서는 감염시킨 후 90일이 되어서야 궤양이 관찰되었다. 감염후 20일에 실시한 면역이적법에 의하면 코 감염군에서는 202, 139, 98, 83, 81, 67, 65, 62, 59, 54, 52, 42, 26, 23 kDa의 항원성 분획이 관찰되었고 발 감염군에서의 항원 분획양상도 코 감염군과 같았으나 등감염군에서는 202, 83, 81, 65 kDa의 희미한 항원성 분획이 관찰되었다. 그러나 감염 후 90일이 경과한 등 감염군에서는 202, 83, 81, 74, 67, 65, 62, 59, 54, 52, 20, 17 kDa의 항원 분획이 관찰되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감염부위와 감염기간에 따라 큰리슈만편모충에 대한 혈청반응이 항원 분획에 따라 다르게 나타남을 관찰하였다. 이 차이는 세 감염부위의 온도차에 의한 결과일 가능성도 있으나 다른 부위에 감염될 경우 한 숙주 내에서도 다른 면역반응이 유발되어 나타날 수도 있다고 추측하였다. 특히 궤양 형성 시기와 혈청 내 67-52 kDa 분획에 대한 항체 출현 시기가 일치하는 것으로 보아 궤양 형성에 이 항체가 관여할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