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auna and geographical distribution of house dust mites in Korea

한국내 집먼지진드기의 지역분포상

  • 이한일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기생충학교실) ;
  • 전성후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기생충학교실, 내과학교실, 고신대학교 생물학과)
  • Published : 1997.03.01

Abstract

During the period of 1933-1994, house dusts were collected from 65 homes at 10 different localities by operating electric vacuum cleaners. House dust mites were isolated from 10 g dust by applying the modified wet sieving method. Total 7,257 mites were collected and 23 species were identified. Among them, Demctophqgoines loyinaf (DF) was predominant (65. Soy) of the total) , followed by D. pteronvssinus (DP) (20.6%) and Tyrophagus nutrescentios (TP) (6.5%) . Rhizoglvphur robini, Sancqsscnin phvIlophogiann, Cheyletus trcussarti and Scheloribates latipes were the first findings from Korea. DF was predominant in Seoul (66.8%), Kwangju (63.6%), inland of Pusan (79.6%1, Inchon (96.5%), Taejon (83.9%), Chouju (87.15) and Chongiu (95.2%), whereas DP was predominant in Yongkwang-ub (72.5%) and Yongdo (island) of Pusan (64.9%), and TP in Chunchon (38.2%) The localities where DP and TP were predominant showed higher relative humidity in air (> 73% RH) . Among 62 study homes, DF, DP and TP were found in 24.6% of the homes, co-habitat of two species in 48.1% and one species in 27.3%. DF was predominant in 63.5% of the homes studied, DP in 29.6% and TP in 6.9%. In 10 g of the house dust, less than 99 mites were found in 49 homes (70.0%), 100-499 mites in 11 homes (15.7%), 500-999 mites in 3 homes (4.3%) and more than 1,000 mites in 2 homes (2.9%). No mite was found in 5 homes (7.1%). In order to evaluate environmental factors affecting the population density of house dust mites, house type, age of house construction, size of the house, number of the family and frequency of the cleaning were compared with the number of mites, and none of the above factors were statistically correlated with the mite density.

1993-1994년에 걸쳐 전국 10개 지역내 주택에서 수거한 집먼지내의 진드기류를 조사하였다. 집 먼지는 평소 가정주부가 사용하는 전기진공청소기내 횔터에 모아진 집먼지 중 10 g을 채취하여 wet sieving metrod 일부 보완하여 진드기류를 분리하였다 채집된 총 7,257개체의 진드기를 동정한 결과 4아목 18과 23속 23종을 확인하였는데 그 중 Rhyzoglyphus robini, Sancossania phwllophcgianus, Cheyletus trouessarti 및 Scheloribotes lotipes의 4종은 국내 미기록 종이었다 전국적으로 가장 널리 분포되어 있고 서식밀도가 높은 종은 nemntophago릴os Jnrinae(DF)로 전체의 65.3%였고 D. Pteronvssinus(DP)가 20.6% Twrophnsus putrescentiqe(TP)가 6.5%를 차지하였는데, 이들 3종이 함께 서식하는 가정은 62개 조사대상 중 24.6%였고. 2개종이 공존하는 가정은 48 1%. 한종만 서식하는 가정은 27.3%였다. DF가 우점 종인 가정은 59개 조사 가정 중 63.5% DP가 우점종인 가정은 29.6%였고 TP가 우점종인 가정은 6.9%였다. 지역적으로는 서울. 광주 인천 전주 정주 등지에서는 DF가 우세하였으나 영광 춘천. 부산 영도 등 대기습도가 비교적 높은(> 73% RH) 지역에서는 DP가 우세한 것으로 나타났다. 집먼지진드기의 서식밀도를 보면 집먼지 10g 중 1.000개체 이상인 가정이 2.9%. 500-999 개체의 가정이 4.3%. 100-499개체의 가정이 15.7%였고 99개체 이하의 밀도를 보인 가정이 70.0%를 차지하였으며 전혀 채집되지 않은 가정은 7.1%였다. 아파트와 단독주택. 건물면적 청소횟수. 가족수. 건축년수 등과 집먼지진드기 서식밀도간에는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