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for Implementing of National GIS Training Program : Analysis of the Results for the First Year

국가 GIS 전문인력양성 활성화 연구 : 1차년도 결과를 중심으로 고찰

  • 이호근 (시스템공학연구소 GIS연구실) ;
  • 이기원 (시스템공학연구소 GIS연구실) ;
  • 이종훈 (시스템공학연구소 GIS연구실) ;
  • 양영규 (시스템공학연구소 GIS연구실)
  • Published : 1997.06.30

Abstract

A national program for GIS Training had been established by a feasibility study which was performed during the period of from July, 1995 through April, 1996 initiated by Ministry of Science and Technology (MOST). Systems Engineering Research Institute (SERI), one of government-supported institutes in the fields of software development, have taken in charge of Korean GIS training program with emphases on short courses since July, 1996. To distinguish these national programs from those of major commercial GIS software vendor, GIS training programs by executing staffs within SERE have been established with the basis of its own educational paradigm; therefore, they was composed of several specific training curricular developed by executing staffs. In this paper, the practical aspects during execution and progress of these programs are described, and all courses named after decision maker course, GIS manager course, and user course in the first year of GIS training program are evaluated with questionnaire result riven to the trainees. As results, the satisfaction-rate after the decision maker, the GIS manager, and the user course is 84.8%, 81.2%, and 66.7% respectively These whole results are shown as more affirmative ones than expected, and each result, as a kind of feedback of this executing program, plays an important role to flourish Korean GIS training project in future.

정부에서는 국가적인 차원에서 GIS 전문인력을 양성하기 위한 'GIS 전문인력양성 종합계획'을 1995년 7월부터 1996년 4월에 수립한 바 있으며 그 결과로 GIS 관련 제반연구를 수행하고 있는 정부출연연구소인 시스템공학연구소에서 1996년 7월부터 단기과정을 중심으로 한 GIS 전문인력 양성사업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소에서 실시된 GIS 전문인력 양성사업은 일반 상업용 GIS 소프트웨어 교육 프로그램과의 차별화를 기하기 위하여 GIS 인력양성을 위한 패러다임 마련과 실제교육 과정 개발을 위한 집중적인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96년 1차년도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기본 방향과 교과과정 및 교과구성 설명하고 1차년도에 시험적으로 운영된 교과과정인 정책결정 자 과정, GIS 관리자 과정 및 업무시스템이용자 과정에서 얻어진 결과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교육 후 설문지 분석을 통해서 얻어진 1차년도 종합평가에서 각 과정별로 정책결정 자 과정은 84.8%, GIS 관리자 과정은 81.2%, 및 업무시스템이용자 과정은 66.7% 가 대체로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 GIS교육사업시행 결과중의 하나인 설문지 결과분석은 1997년 이후의 2, 3차년도 전문인력양성사업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중요한 피드백 역할을 하게 되며 국내 GIS 제반 분야의 현업에 있는 산 학 연 관련 전문가들의 보다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참여를 고무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