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eological Structure of Precambrian to Paleozoic metasedimentary rocks in the Janggunbng area, Korea -Crustal evolution and environmental geology of the central part of the North Sobaegsan Massif, Korea-

장군봉지역 선캠브리아대-고생대 변성퇴적암류의 지질구조 -북부 소백산육괴의 중앙부지역의 지각진화와 환경지질

  • Published : 1997.12.01

Abstract

The Janggunbong area(this study area) at the central-south part in the North Sobaegsan Massif, Korea, consists mainly of Precambrian(Wonnam and Yulri Formations)-Paleozoic [Joseon Supergroup(Jangsan Quarzite, Dueumri Formation and Janggum Limestone) and Pyeongan Group(Jaesan and Dongsugok Formations)] metasedimentary rocks and Mesozoic granitoid(Chunyang granite.) This study is to interpret geological structure of the North Sobaegsan Massif in the Jang-gunbong area by analysing rock-structure and microstructure of the constituent rocks. It indicates that its geological structure was formed at least by four phases of deformation after the formation of gneissosity(S0) in the Wonnam Formation and bedding plane(S0) in the Paleozoic metasedimentary rocks. The first phase deformation(D1) formed tight isoclinal fold(F1). Its axial plane(S1) strikes east-west and steeply dips north. Its axis (L1) subhorizontally plunges east-west. The second phase deformation(D2), which was related to ductile shear deformation, formed stretching lineation(L2) and shear foliation(S2). The sense of the shear movement indicates dextral strike-slip shearing(top-to-the east shearing). The third phase deformation(D3) formed open inclined fold(F3). Its axial plane(S3) strikes east-west and moderately or gently dips north. Its axis(L3) subhorizontally plunges east-west. The F3 fold reoriented the original north-dipping S1 foliation and D2 shear sense into south-dipping S1 foliation(top-to-the west shear sense on this foliation) at its a limb. The four phase of deformation(D4) formed asymmetric-type open inclined fold(F4) of NE-vergence with NW striking axial plane(S4) and NW-NNW plunging axis(L4). The F4 fold partly reoriented pre-D4 structural elements with east-west trend into those with north-south trend. Such reorientation is recognized mainly in the Paleozoic metasedimentary rocks.

북부 소백산육괴의 중남부에 위치하는 장군봉지역(본 연구지역)은 선캠브리아대 변성퇴적암류(원남층과 율리층)와 고생대 변성퇴적암류[조선누층군(장산규암, 두음리층, 장군석회암)과 평안층군(동수곡층과 재산층)] 그리고 중생대 화강암류(춘양화강암)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논문은 장군봉지역에서 북부 소백산육괴의 지질구조를 해석하기위해 구성암류의 암석구조와 미세구조를 연구하였다. 그 결과 연구지역의 지질구조는 선캠브리아대 원남층의 편마면(S0)과 고생대 변성퇴적암류의 층성전단변형 이후에 적어도 네 번의 변형단계(D2 연성전단변형 이전에 한 번의 습곡작용과 D2 연성전단변형 이후에 적어도 두 번의 습곡축(L1)과 동-서 주향에 북쪽으로 고각 경사하는 습곡축면(S1)을 갖는 밀착 등사습곡(tight isoclinal fold) (F1 습곡)을 형성시켰다. 두 번째 변형(D2 변형)은 전단엽리면(S2)의 상부가 동쪽으로 이동한 전단감각(top-to-the east shear sense)을 보이는 우수 주향 이동성 대규모 연성전단운동 발생기로서 이러한 D2 연성전단변형에 의해 신장선구조(L2)가 S2 전단엽리면상에 형성된다. 세 번째 변형(D3 변형)은 도-서 방향의 준 수평적인 습곡축(L3)과 동-서 주향에 북쪽으로 저각 내지 중각 경사하는 습곡축면(S3)을 갖는 열린 경사습곡(open inclined fold) (F3 습곡)을 형성시켰다. 그 결과 원래 북쪽으로 경사하는 S1 엽리면은 F3 습곡의 한쪽 날개부에서 남쪽으로 경사하게 되고, 원래의 D2 전단감각은 재 배열된 남쪽 경사 S1 엽리면상에서 상부가 서쪽으로 이동한 전단감각을 보이게 된다. 네 번째 변형(D4 변형)은 북북서 내지 북서 방향으로 침강하는 습곡축(L4)과 남서 방향으로 경사하는 습곡축면(S4)을 갖는 북동 버전스의 비대칭형 열린 경사습곡(F4 습곡)을 형성시켰다. 그 결과 동-서 방향성을 보이는 D4 변형 이전의 구조요소들은 부분적으로 남-북 방향성으로 재배열된다. 이러한 변형의 효과는 고생대 변성퇴적암류에서 주로 인지된다.

Keywords

References

  1. 암석학회지 v.6 충주 계명산지역 옥천변성대의 화성활동과 지질구조 강지훈;류충렬
  2. 암석학회지 v.5 장군봉 일대 선캠브리아대-고생대 변성퇴적암류의 다변성 작용-북부 소백산육괴의 중앙부 지역의 지각진화와 환경지질 김기영;김형식;오창환;박찬수;강지훈;류영복
  3. 한국지질도 (1: 50.000) 삼근리 도폭 및 설명서 김옥준;홍만섭;김기태;박회인
  4. 지질학회지 v.27 화순탄전에 발달된 순창전단대의 구조적특성 김정환;기원서
  5. 광산지질 v.26 장군광산 주변의 변성 이질암에서의 누진 변성반응 안건상;정현희;이현구
  6. 암석학회지 v.4 춘양 화강암체 주변 두음리층에 산출하는 십자석-흑운모-홍주석-석류석 광물조합: 대수학적 분석 양판석;조문섭
  7. 한국지질도(1:50,000) 울진 도폭 및 설명서 윤석규;신병우
  8. 지질학회지 v.26 한반도 남서부 영광읍부근 연성전단대의 변형특성 연구 이병주;김동학;전경석
  9. 지질학회지 v.28 화순탄전 북부지역에서 우수향 연성주향 이동운동에 관련된 변형작용 이병주
  10. 지질학회지 v.20 소위 율리층군 및 원남층군의 변성 암석학적 연구-태백산 일대를 중심으로 이상만;김형식
  11. 일본 조도전대학 박사 학위논문 한국 장군 광산에 있어서 복합 유화물, 유염 광석의 광상학적 및 광물학적 연구 이현구
  12. 이석 남기상 선생 논문집 장군광산주변의 지질과 변성작용 이현구;박노영;이마이나오야
  13. 지질학회지 v.25 전주 부근 화강암의 연성변형작용에 관하여 장태우;한민영
  14. 지질학회지 v.30 광주 전단대내 석영 분쇄암의 미구조에 관한 연구 장태우
  15. 한국 지질 광물 연구소. 지질 광물조사 보고서 삼한 장군 광산 조사 보고서 황덕환;Reedman A.J.
  16. Jour. Struct. Geol. v.1 Orthogeneiss, mylonite and non coaxial deformation of granites: the example of the South Armorican Shear Zone Berthe, D.;Choukroune, P.;Jegouzo, P.
  17. Atlas of deformational and metamorphic rock fabrics Borradaile, G.J.;Bayly, M.B.;Powell, C.M.A.
  18. Korea-. Jour. Geol. Soc. Korea v.27 On the microstructures of mylonitic rocks-with special reference to Yecheon shear zone Chang, T.W.
  19. Tectonophysics v.194 Indosinian ductile dextral fault system and synkinematic ductile dextral fault system and synkinematic plutonism in the southwest of Ogcheon belt (S. Korea) Cluzel, D.;Lee, B. J.;Cadet, J. P.
  20. Jour. Struct. Geol. v.13 Intense non-coaxial shear and the development of mega-scale sheath folds in the Arunta Block, Central Australia Goscombe, B.
  21. Geology of Japan Sea Geology and Metamorphic Rocks in the Environs of the Janggun Mine, Republic of Korea. With Some Comments Relating to the Unazuki Metamorphic Rocks in Japanese. Island Arc. Imai, N.;Park, N.Y.;Lee, H.K.;Machida, M.;Higashihara, Y.
  22. Mem. Geol. Soc. Japan v.42 Time-relationship between deformation and metamorphism of the Ogcheon Zone in the Ogcheon district, South Korea Kang, J. H.;Hara, I.;Hayasaka, Y.;Sakurai, Y.;Shiota, T.;Umemura, H.
  23. Geologic Map of Korea (1:1,000,000) KIGAM
  24. Geology of Korea, Geol. Soc. Korea Metamorphic complexes of Sobaeksan Massif (or Ryeongnam Massif) Na, K.C.;Lee, D. S.(ed.)
  25. Jour. Struct. Geol. v.6 S-C mylonite Lister, G.S.;Snoke, A.W.
  26. Jour. Struct. Geol. v.9 Kinematics of compressional and extensional ductile shearing deformation in a metamorphic core complex of the northeastern Basin Range Malavieille, J.
  27. Microtectonics Passchier, C.W.;Trouw, R.A.J.
  28. Jour. Struct. Geol. v.10 Geometry of sheath folds and related fabrics at the Luikonlahtimine, Svecokarelides, eastern Finland Park, A.F.
  29. Jour. Struct. Geol. v.2 Extensional structures in anisotropic rocks Platt, J.P.;Vissers, R.L.M.
  30. Jour. Struct. Geol. v.6 Secondary cleavages in ductile shear zones Platt, J.P.
  31. Tectonophysics v.58 A morphological classification of rock cleavage Powell, C.M.A.
  32. Geology of Korea Reedman, A. J.;Um, S. H.
  33. Bull. Geol. Soc. Amer. v.94 An evaluation of criteria to deduce the sense of movement in sheared rocks Simpson, C.;Schmid, S.
  34. Jour. Struct. Geol. v.7 Deformation of granitic rocks across the brittle-ductlie transition Simpson, C.
  35. Jour. Struct. Geol. v.11 Tubular folds and sheath folds: definitions and conceptual models for their development, with examples from the Grapesvare area, northern Sweden Skjernaa, L.
  36. Jour. Struct. Geol. v.6 Complex synkinematic and postkinematic garnet porphyroblast growth in polymetamorphic rocks Toteu, S.F.;Macaudiere, J.
  37. Geol. Rdsch. v.67 Porphyroblast-matrix microstructural relationships in deformed metamorphic rocks Vernon, R.H.;Ryde, N.
  38. Sci. Pap. Coll. Arts Sci. Univ. Tokyo v.35 The Honam shear zone (S. Korea) : deformation and tectonic implication in the Far East Yanai, S.;Park, B. S.;Otoh, S.
  39. Geol. Rdsch. v.52 On the determination of polymetamorphic mineral associations and its application to the Bosost area(central Pyrences) Zwat, H.J.