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CORRELATION BETWEEN CRANIAL BASE SIZE, SHAPE AND HEAD POSTURE, AND THE POSITION OF MAXILLO-FACIAL STRUCTURES

두개저의 크기, 형태 및 두부자세와 악안면구조의 위치적 상관관계

  • 홍용석 (조선대학교 대학원) ;
  • 윤영주 (조선대학교 치과대학 교정학교실) ;
  • 김광원 (조선대학교 치과대학 교정학교실)
  • Published : 1997.10.01

Abstract

This study was done to evaluate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size, the form of the cranial base, head posture and the horizontal and vertical position of craniofacial structures. For this purpose, 100 cephalometric radiographs were taken from the sample composed of 51 male and 49 female, 12 measurement criteria and 37 reference points were established and digitized, then calculation was performed for the values of measurement variables and the horizontal and vertical position of reference points. The correlations be4ween them were analyzed statistically and mean facial diagrams were constructed and compared with the selected groups which were composed of 10 Samples each as large and small group from the measurement value.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The angles n-s-ba and n-s-ar as variables for the ion of cranial base correlated highly to the horizontal and vertical position of reference points in the cervical column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0.1\%$ level). 2. The angles n-s-ba and n-s-ar as variables for the form of cranial base correlated to the horizontal position of the reference points in the facial structure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1\%$ level), but not to the vertical position of them($5\%$ level). 3. The length n-s, s-ba, and n-ar as variables for the size of cranial base were correlated th the position of craniofacial structures in various ways, but in general, highly correlated to the horizontal and vertical position of midfacial structures around the teeth and alveolar area. 4. the angle NSL/CVT and NSL/OPT as postural variables tot the inclination of cranial base and cervical column were correlated to the horizontal position of the craniofacial structures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1\%$ level), but not to the vortical position of them($5\%$ level). 5. The angle OPT/HOR and CVT/HOR as postural variables lot the inclination of cranial base and true horizontal line were not correlated to the horizontal and vertical position of the craniofacial structures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5\%$ level). 6. The correlation between the measurement variables and horizontal and vortical positions of the reference poits in soft tissue were shown as similar to the related hard tissue points.

두개저의 크기, 형태 및 두부자세가 지니는 두개안면구조의 공간적 수평, 수직적 위치간의 상관성을 파악해 보고자 남자 51명, 여자 49명으로 구성된 표본으로부터 촬영된 100장의 측모 두부방사선사진을 이용, 12개의 계측항목과 37개의 기준점을 설정하고 계측항목에 대한 계측치와 기준점의 수평, 수직 위치를 산출한 다음,이들 간의 상관관계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였으며 계측항목에서 얻은 계측치의 크기가 크거나 작은 군을 각각 10개 표본씩으로 분류하여 mean facial diagram을 작성, 비교함으로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두개저의 형태변수인 n-s-ba 및 n-s-ar각은 경추의 기준점 cv4ip, cv2ip, cv4tg 그리고 cv2ap의 수평, 수직적 위치 모두에 높은 통계적 유의성의 상관관계를 보였다($0.1\%$ 유의수준). 2. 두개저의 형태변수인 n-s-ba및 n-s-ar각은 안면구조에 있는 대부분의 기준점의 수평적 위치와 상관관계를 보였으나($1\%$ 유의수준), 수직적 위치는 통계적 유의성이 없었다($5\%$ 유의수준). 3. 두개저의 크기변수인 n-s, n-ba, n-ba및 n-ar의 크기는 두개안면구조내 기준점의 위치와 다양한 양상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대체로 치아, 치조와 관련된 중안면구조의 수평, 수직적 위치와 상관관계가 높았다. 4. 두개저와 경추의 기울기가 이루는 자세변수인 NSL/CVT, NSL/OPT각은 두개안면구조내 기준점의 수평적 위치에 높은 상관성을 지니고 있었으며 통계학적 유의성이 인정되었으나($1\%$유의수준), 수직적 위치와는 통계적 유의성이 없었다($5\%$ 유의수준). 5. 진수평선(true horizontal line)과 경추의 기울기가 이루는 자세변수인 OPT/HOR 및 CVT/HOR각은 두개안면구조내 기준점의 수평, 수직적 위치 모두와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인정되는 상관성을 보이지 않았다($5\%$ 유의수준). 6. 연조직에 존재하는 기준점의 수평, 수직적 위치는 모든 변수와의 상관성에서 대부분 경조직의 관련 기준점에 준하는 양상을 보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