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산강유력(榮山江流域) 퇴적층(堆積層)의 수직적.공간적(垂直的.空間的) 발달(發達) 연구(硏究)

A Vertical and Spatial Study of Sediment Deposits Developing Along Yeongsan River

  • 은고요나 (전남대학교 자연과학대학 해양학과) ;
  • 유환수 (전남대학교 자연과학대학 해양학과) ;
  • 김동주 (광주전남발전연구원)
  • Eun, Ge-Yeo-Na (Department of Oceanograph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 You, Hoan-Su (Department of Oceanograph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 Kim, Dong-Ju (Kwangju-Chonnam Development Institute)
  • 발행 : 1997.12.30

초록

영산강 유역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퇴적층에 관해 과학적 체계적인 연구를 위해 영산강을 따라 13개 지점에서 시추가 수행되었다. 퇴적층은 가장 하류에 위치한 YS 1에서 22.0m, YS 2에서 20.0m, YS 3에서 18.5m, YS 4에서 12.0m, YS 5에서 3.0m, YS 7에서 5.5m, YS 8에서 3.0m, YS 9에서 5.9m, 그리고 가장 상류인 YS 10에서 5.0m까지 발달하고 있다. 퇴적층의 성분별 특성은 YS 4를 경계로 상류지역은 거의 사질을 포함한 자갈층이 우세하며, 하류지역인 YS 1$\sim$YS 3에서는 $11m{\sim}16m$ 정도의 두꺼운 니질층이 층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고 하부에 사질층과 사질층 아래에 자갈을 포함한 사질층이 연속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시추공별 유기탄소의 평균함량은 YS 1에서 가장 낮은 0.5%인 반면 상류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증가하여 YS 8에서 최대인 0.9%이다. 반면에 탄산염은 YS 2에서 14.2%로 가장 높고, YS 9에서 가장 낮은 2.8%이다. 결과적으로 유기탄소와 탄산염 함량의 공간적인 변화는 서로 상반적인 경향으로 나타난다. 입도분석 결과에 의하면, 강 상류지역에 퇴적층은 상대적으로 자갈의 함유량이 많은($48.8%{\sim}14.1%$) 반면 니질은 감소하고, 하류쪽으로 갈수록 자갈의 함유량이 적어지고 니질의 양이 증가하고 있다. 퇴적층의 성분별 공간적인 분포는 입도와 퇴적물 특성에 따라 자갈을 포함하고 있는 층과 포함하지 않고 있는 두개의 층으로 대분될수 있는데, 이러한 층의 경계는 YS 1$\sim$YS 4까지는 뚜렷하지만 상류지역의 퇴적층에서는 나타나지 않거나 모호하다.

For the scientific and systematic study of sediment deposits along Yeongsan river, total 13 core samples were taken from Yeongsan river. The thickness of sediment deposits is 22.0m at YS 1, 20.0m YS 2, 18.5m YS 3, 12.0m YS 4, 3.0m YS 5, 5.5m YS 7, 3.0m YS 8, 5.9m YS 9, 5.0m YS 10 on main stream of Yeongsan river. The thickness of deposit is increasing from upstream to downstream. The composition of sediments dominates sandy gravel on the upstream and the lower part on the downstream, and mud deposits of $11m{\sim}16m$ thick on the upper part of on the downstream(YS 1, YS 2, and YS 3). Contents of organic carbon and calcium carbonates occur being contrary to each other toward upstream. The content of organic carbon increases upstream, that of calcium carbonates decreases. According to size analysis of sediment, the content of gravel increases and mud decreases from downstream to upstream. Sediment deposits can be divided into two types whether gravel is or not. But this boundary is clear in the downstream(YS 1$\sim$YS 4) but is vague in the upstream. The result of this study could be provided engineering, environment, and architecture with geological background as the essential basis.

키워드

참고문헌

  1. 영산강수질관리 종합대책수립에 관한 연구 광주광역시
  2.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영산강 하도변화에 관한 지형학적 연구 김종일
  3. 낙동강 상수원수 수질개선방안 남동개발연구원
  4. 전국하천조사서 수자원공사
  5. 한강 수질관리 효율화 방안 연구 시정개발연구원
  6. 영산강 수질개선 종합대책수립에 관한 연구 전라남도
  7. 유엔환경개발회의 「의제21」국가실천계획 환경부
  8. Introduction to Geology Branson, E. B.;Tarr W. A.
  9. Applied Quaternary Research. De Mulder, F. J.;Hageman, B. P.
  10. J. Sed. Petro. v.27 Brazos river bar: a study in the significance of grain parameter Folk, R. L.;Ward, W. C.
  11. Petrology of Sedimentary Rock Folk, R. L.
  12. Petrographic Methods for the Study of Lithified Rocks Quaternary Sediments Gale, S. J.;Hoare, P. G.
  13. Procedures in Sedimentary Petrology Sedimentation analysis Galehouse, J. S.;Carver, R. E.(ed.)
  14. Procedures in Sedimentary Petrology Sieve analysis Ingram, R. L.;Carver, R. E.(ed.)
  15. J. Geol. Soc. Korea v.16 Sediment transport and deposition in the Noakdong Esturay, Korea Kim, W. H.;Lee, H. H.
  16. Sedimentary Petrology Mathmatical treatment of size distribution data McBride, E. F.;Carver, R. E.(ed.)
  17. Global geology and world development Owen, L. A.;Unwin, P. T. H.(ed.)
  18. Esturine Variability Comparative analysis of estuaries bodering the Yellow Sea Schubel, J. R.;Shen, H. T.;Park, M. J.;Wolfe, D. A.(ed.)
  19. The fluvial system Schumm, S. A.
  20. A Practical Handbook of Seawater Analysis Strickland, J. D. H.;Parsons, T. 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