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ytotoxicity and Antitumor Effects of Insambaekhaptang on C57BL/6 Mice Melanoma-induced Lung Metastasis

인삼백합탕(人蔘百合湯)이 B16세포에 대한 세포독성능 및 C57BL/6계 생쥐의 폐전이암의 억제에 미치는 영향

  • 황호준 (상지대학교 한의과대학 병리학교실) ;
  • 하지용 (상지대학교 한의과대학 병리학교실)
  • Published : 1997.12.30

Abstract

Oriental medicine as a candidate for effective cancer treatment recently gain positive concerns in fields of therapeutic oncology. that is why some herbal medicines have been empirically safer in toxicity than anticancer drugs used in western medicine, and to show excellent therapeutic efficacy in human trial. Thus, these effects by clinically applied-herbs have not yet fully demonstrated in experimental tumor model. This study was initiated to evaluate the antitumor effect of Insambaekhaptang as candidate of antitumor-herbal agent against B16 melanoma metastasized into C57BL/6 mice lung. In experiment to test whether Insambaekhaptang can directly kill cancer cells in vitro or not, Insambaekhaptang showed direct killing action in concentration or higher against B16 melanoma cells using MTT assay, and showed lower IC50. Another experiment to know whether Insambaekhaptang can inhibit growth and metastasis of cancer cell or not, Insambaekhaptang significantly inhibited Solid tumor by intraperiperal injected-melanoma and lung metastasis induced by intravenous injected-melanoma in inbred C57BL/6 mice. When quantitative survival time increasing, we could obtain results that increased 113% in treated by Insambaekhaptang. These results show that Insambaekhaptang can inhibit growth of B16 melanoma cells through various biological mechanisms.

연구배경 종양은 그 발생원인과 성장기전이 자세히 밝혀져 있지 않는 질병으로 최근 사망원인의 제1원인으로 급격히 발생빈도가 증가하고 있다. 종양환자의 수는 점점 증가하는 추세이며, 그에 따른 사망자의 수도 늘고 있다. 종양을 치료하는 방법으로 수술요법 면역요법 방사선요법 화학약물요법 골수이식 호르몬요법등이 사용되어 왔으며, 최근에는 전통적인 한약재를 이용한 종양파괴 및 종양의 성장을 억제하는 약재의 연구가 활발히 시도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노수토홍(勞嗽吐紅)'에 사용되는 인삼백합탕(人蔘百合湯)을 사용하여 종양파괴 및 종양의 성장억제능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인삼백합탕을 전이암 실험에 다용(多用)되는 B16세포를 대상으로 세포독성을 MTT검사법에 의하여 실험한 후 $IC_{50}$을 측정하였다. 그 후 동물실험으로 C57BL/6에 B16세포를 주입시킨 후 고형암의 중량과 폐에 전이된 흑생종의 집락의 수를 측정하였고, 생존기간의 연장정도를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인삼백합탕 구성약물의 시험관내 세포독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MTT검사법으로 측정한 결과 농도에 비례하여 생존율은 감소하였고, $IC_{50}$을 산출한 결과 백출, 홍화, 계피, 인삼등이 낮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인삼백합탕엑스의 시험관내 세포독성은 농도에 비례하여 생존율이 감소하였고, $IC_{50}$$0.0002437{\mu}g/ml$을 나타내었다. B16세포를C57BL/6의 복강에 주입시켜 고형종양의 무게를 측정한 결과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성있는 감소를 보였다(p<0.05). B16세포를 C57BL/6의 꼬리정맥에 주입하여 폐전이암을 유발시킨 후 폐의 표면에 생긴 집락의 수를 측정한 결과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성있는 감소를 보였다(p<0.001). B16세포를 C57BL/6의 꼬리정맥에 주입하여 폐전이암을 유발시킨 후 생존일수를 측정한 결과 평균치가 대조군은 23일, 투여군은 26일을 나타내어 113%의 증가를 보였다.

Keywords

References

  1. 종양학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2. Elements of human cancer Geoffrey M. Cooper
  3. Methods cancer Res. v.15 General consideration for studies of experimental cancer metastasis Fider, I.J.
  4. Cancer Res. v.46 Tumor invasion and metastasisroll of the extracellular matrix, Rhods memorial award lecture Liotta, L.A.
  5. 동의종양학 최승훈
  6. 한의학원론 김완희
  7. 中醫雜誌 六味地黃湯方法腫瘤的實驗硏究 姜延良
  8. 동의병리학회지 v.9 no.1 한의학적 진단모형에 따른 한방 제제의 항암 및 면역조절작용에 미치는 영향 안규석;최승훈;김정범;박종현
  9. J. Natl. Cancer Inst. no.78 Marked granulocytosis in C57BL/6 mice bearing a transplanted BMT-11 fibrosarcoma Ishokawa, M.;Hosokawa, M.;Oh-hara, N.;Niho, Y.;Kobayashi, H.
  10. JPA. J. Cancer Res. no.86 Inhibition of pulmonary Metastasis and Tumor cell invasion in experimental tumor by Sodium D-Glucaro-$\gamma$lactam(ND2001) Tsutomu Tsurjoka(et al.)
  11. 동의보감 허준
  12. 동의보감을 통한 허준의 의학사상에 관한 고찰 권학철
  13. J. Immunol. Methods v.65 Rapid colormetric assay for cellular growth and survival ; Application to proliferation and cytotoxicity assays Mosmann, T.
  14. The Biological Society of the Republic of Korea Proceeding of symposium an Biochemical methods for research and develpment of Bioactive substances 한국생화학회
  15. 사망원인통계연감 v.11 통계청
  16. 대한의학협회지 v.36 no.3 한국인의 사망원인 안돈희
  17. Molecular biology of the cell Bruce albert
  18. Harrison's Principles of internal medicine Harrison, T.R.(et al)
  19. 경희대학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곽향정기산과 곽향정기산합수점산의 항암 및 면역조절작용에 관한 실험적 연구 김의태
  20. 衛濟寶書(中國醫學大系) v.9 東軒居士
  21. 대한한방종양학회지 v.1 no.1 반하백출천마탕과 반하백출천마탕가미방의 항암효과 및 면역반응에 관한 실험적 연구 백태현;유봉하;박동원;유기원
  22. Lung cancer Bruce, E.;Johnson, M.D.;Davis, H.;Johnson, M.D.
  23. 中醫學臨床病理 北京中醫學院(編)
  24. 黃帝內經素問靈樞合編 馬蒔;張志聰
  25. 備急千金要方 孫思邈
  26. 濟生方 嚴用和
  27. 대한한방종양학회지 v.1 no.1 암에 대한 한의학적 인식 및 실험적 연구에 관한 고찰 최승훈
  28. 대한한방종양학회지 v.1 no.1 한국한의학의 종양연구에 대한 현황 공현식;류봉하;박동원;유기원
  29. 대한한의학회지 v.12 no.2 폐암에 관한 동서의학적 문헌고찰 오태환;정승기;이연구
  30. 대한한의학회지 v.15 no.1 폐적 페응 폐저 폐암에 관한 문헌적 고찰(원인 증상을 중심으로) 한재수(外)
  31. 한방종양학회지 v.2 no.1 식분탕이 항암 및 면역조절작용에 미치는 영향 윤성묵;하지용
  32. 한방종양학회지 v.2 no.1 반하후박탕이 항암 및 면역조절작용에 미치는 영향 강재만;강재춘;하지용
  33. 이공산잉 마우스 흑색종의 폐전이 억제에 미치는 항암 및 면역작용에 관한 연구 이선구
  34. 항암본초 常敏毅
  35. 생약학회지 v.25 no.2 전통약용식물 및 각종식물의 항암효과에 대한 연구 현지원(外 13인)
  36. 생약학회지 전통약용식물 및 각종식물의 항암효과에 대한 연구 현지원(外 14인)
  37. The journal of International medical research v.22 Immunomodulatory and anti-tumor polysaccharides from Medical plants Wong, 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