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부자(香附子) 주산지(主産地)의 생산실태(生産實態)와 경제성(經濟性) 분석(分析)

Production Status and Economic Analysis in Chief Producing Area of Cyperus rotundus

  • 김봉구 (경상북도농촌진흥원 의성작약시험장) ;
  • 김재철 (경상북도농촌진흥원 의성작약시험장) ;
  • 류정기 (경상북도농촌진흥원 의성작약시험장)
  • Kim, Bong-Gu (Euiseong Peony Experiment Station. Gyeongbuk Provincial R.D.A) ;
  • Kim, Jae-Chul (Euiseong Peony Experiment Station. Gyeongbuk Provincial R.D.A) ;
  • Ryu, Joung-Ki (Euiseong Peony Experiment Station. Gyeongbuk Provincial R.D.A)
  • 발행 : 1997.09.30

초록

향부자 주산단지의 생산실태와 경영경제적 현황 파악을 위하여 경북 고령군 다산면 2개마을 137농가와 관련기관, 단지임원, 가공업자 등을 대상으로 주산단지의 발전과정과 운영현황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향부자 주산지인 고령지역의 향부자 재배면적은 185ha로 전국의 88%를 차지 하였고, 재배농가의 규모는 호당평균 0.6ha로 약초재배에 있어서는 비교적 규모가 크다고 볼 수 있으며, 재배, 가공, 출하 등이 통합되어 단지가 조성되어 있었다. 2. 재배농가의 대부분이 낙동강변의 하천부지에 여름철 강우시 침수되는 유휴지를 활용하여 재배 과정에서 노동조방적인 영농형태를 취하여 경지활용도가 낮은 지대의 개발 가능성이 높은 소득작목으로 정착되었다. 3. 종묘는 저장한 종근을 이용하였고, ha당 복합비료 (17-21-17)를 1,000kg 사용하였으며, 포장 관리에 있어 제초작업은 농가와 포장여건에 따라 약제처리 및 인력을 적절히 이용하였다. 4. 수확은 자체 개발한 트렉터 부착기를 이용하여 생력화하였고, 각 농가에서 1차가공한 것을 가공공장에 넘겨, 선별${\Longrightarrow}$거모${\Longrightarrow}$세척${\Longrightarrow}$절단${\Longrightarrow}$건조과정 을 거쳐 완제품을 생산하였다. 5. 재배농가의 ha당 평균수량은 6,280kg이었고, 소득은 3,880천원이었는데, 최근에 향부자 근당가격이 1,500원으로 낮게 거래되어 재배면적은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Cyperus rotundus has been grown for a long time in korea to be used as medicinal crop.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urvey the production status and economic analysis in chief producing area of Cyperus rotundus in Koryong, Korea. The Koryong area where was the major production area of Cyperus rotundus was composed of 0.6hectare cultivation size per farm household and the processes like cultivation, processing, shipping were formed unitedly. The most general management type was labor-extensive one which use the Nakdong river basin or idle land effectively. The cultivation area have been decreased gradually because the price was very low so that the income per hectare was just 3,880 thousand won and productivity per hectare was just 6,280kg. Thus, production condition was very inferior, it needs some self-help to encourage the production because it has some possibility as only regional special product.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