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ies on the changes of main components during the fermentation of Anchvy sauce

멸치젓 발효숙성중 주요성분의 변화

  • 조영도 (삼포식품(주), 국립안성산업대학교)
  • Published : 1996.04.01

Abstract

This research aimed at investigating the changes of volatile basic nitrogen, amino nitrogen and lipids during the fermentation of 6 month Anchovy cured under room temperature with various treatments(20, 30 and 40% salted) and examing the optimum condition of Anchovy sauce. The results are summerized as the V.B.N which increased with the curing period of anchovy from 14 mg% to 90~107mg% in 180 days curing at 20% salt level. Amino nitrogen in minced anchovy was higher than in whole anchovy during fermentation and the content of Extractive Nitrogen in the curing anchovy containing 20% of salt, kept the highest amount in 60 curing days. As a rule, minced anchovy showed more rapidly increased than whole anchovy. The lipid in curing anchovy containing 20% and 30% of salt has already been oxidized in 30 days while the lipid of anchovy cured with 40% salt prolonged the initial stage to 45 days. During fermentation, peroxide value and acid value showed constant increasing, while thiobarbituric acid began to decrease after 120 days curing. Among the non-polar lipids, linolenic acid, linoleic acid and erucic acid was decomposed by 24.5%, 22.2%, and 20.0%, respectively. It was noticed that the decomposition of polar lipid was retarded by higher salt content.

멸치젓의 생산 및 품질향상을 위한 기초적 자료를 얻기 위하여 원료멸치를 처리방법 및 가염조건별로 젓갈을 담아 숙성시키면서 숙성의 지표성분인 질소화합물의 변화 및 숙성중의 지방산조성등 지질 성분의 변화상태를 5개월간 경시적으로 분석 고찰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질소화합물의 변화 휘발성염기질소(VBN)의 함량은 숙성초기에 약 l4mg%에서 숙성이 완료된 후에는 90∼107mg% 까지 증가하였으며 아미노태질소의 함량에서는 마쇄처리구가 대체적으로 전어체처리구보다 높은 경향이었다. 엑스분질소의 숙성중 증가속도는 숙성 2개월까지는 20%첨가구, 마쇄처리구, 30%첨가구, 40%첨가구의 순으로 빨랐고 4개월후부터는 염함량이 낮을수록, 전어처리원료보다 마쇄처리원료의 증가속도가 빠른 경향을 보였다. 2. 지질의 산화식염농도 20% 및 30% 첨가구는 숙성30일에 비질산화의 유도기간이 경과한 반면 40%첨가구는 약 45일까지 연장되었으며 산가와 과산화물가는 계속 증가하는 반면 TBA가는 숙성 120일이후에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3. 숙성중 지질성분의 변화 숙성중 비극성지질은 증가하고 극성지질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극성지질은 숙성개시 180일에 45∼56%가 감소하였고 비극성지질은 동기간에 4.8∼6.0%가 증가하였다. 4. 지방산의 변화 젓갈 숙성중 가장 감소가 뚜렷한 지방산은 linoleic acid로서 24.5%정도 감소하였고 linolenic acid는 약 22.2%, erucic acid는 약 20%정도 감소하였다. 이와 같은 감소현상은 염의 첨가량이 많을수록 억제되는 경향을 보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