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ariation of Vital Sign according to Time in Full Immersion of Hot and Cool Bath

온.냉욕 전신침수욕시 기간에 따른 vital sign의 변화

  • Yi, Seung-Ju (Dept. of Physical Therapy Andong Junior College)
  • 이승주 (안동전문대학 물리치료과)
  • Published : 1996.09.30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ee variation of vital sign of hot and cool bath according to time, a questionnair survey and measurement was carried out for 32 students(sophomore) of department of physical therapy Andong Junior College on the 27th of June, 1995. The result were as follows: The average systolic blood pressure(SBP) of stability for 32 college students who were measured was 105.3mmHg, the average diastolic blood pressure(DBP) was 67.3mmHg, the average pulse frequency(PF) was 70.7(frequency/min), the average respiratory frequency (RF) was 15.6 (frequency/min), and the body temperature(BT) was $36.6^{\circ}C$. As time went on, SBP for 32 students who were measured in hot bath according to stability, 3 min, 6 min, 9 min, and 12 min was decreased(105.15 mmHg, 104.69mmHg, 104.24 mmHg, 103.03 mmHg, and 96.69 mmHg)(P=0.3006). SBP was decreased in cool bath, too(105.15 mmHg, 103.33 mmHg, 103.33 mmHg, and 100.91 mmHg), but it at 12 min was a little higher(l03.09 mmHg)(P=0.7566). As time went on, DBP according to stability, 3 min, 6 min, 9 min, and 12 minutes was decreased in hot bath(66.82 mmHg, 65.45 mmHg, 64.54 mmHg, 63.03 mmHg, and 59.39 mmHg)(P=0.0906). It was similar in cool bath(66.82 mmHg, 67.87 mmHg, 68.48 mmHg, 67.87 mmHg, and 68.78)(P=0.9654). As time went on, PF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hot bath(70.42 times, 86.96 times, 93.57 times, 99.30 times, and 101.78 times)(P=0.0001). It was a little increased in cool bath, too (70.42 times, 70.85 times, 71.63 times, 71.06 times, and 71.45 times)(P=0.9803). As time went on, RF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hot bath(15.75 times, 19.09 times, 22.09 times, 24.94 times, and 26.48 times)(P=0.0001). I t in cool bath of stability, 3 min, and 6 min was a little increased(15.75 times, 19.30 times, 19.39 times), but it in 9 min(18.67 times), and 12 min(18.09 times) was a little decreased(P=0.0176). As time went on, BT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hot bath($36.63^{\circ}C,\;37.45^{\circ}C,\;37.81^{\circ}C,\;38.12^{\circ}C,\;38.33^{\circ}C$)(P=0.0001). It was a little increased in cool bath of stability and 3 min($36.63^{\circ}C,\;37.40^{\circ}C$), but others are similar($37.33^{\circ}C,\;37.37^{\circ}C$, and $37.36^{\circ}C$)(P=0.0001). It was revealed by this study, SBP and DBP according to time in hot and cool bath were decreased. PF, RF, and BT in hot bath were higher, RF and BT in cool bath were higher too. but PF was similar.

본 연구는 온 냉입욕시 신체의 vital sign(수축기 및 이완기혈압, 맥박수, 호흡수, 체온 등)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1995년 6월 27일 안동전문대학 물리치료과 2학년 재학생 총 52 명 중 질병을 앓고 있거나 생리 중인 여학생 및 미참가 학생을 제외한 32명(61.5%)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연구대상자의 안정시 수축기 및 이완기혈압의 평균은 각각 105.3mmHg, 67.3mmHg 였으며, 맥박수는 분당 70.7회였고, 호홉수의 평균은 15.6회였으며, 체온은 $36.6^{\circ}C$였다. <성별과 온 냉욕 적용시 각각의 해당 시간마다 vital sign의 변화> 1. 수축기혈압은 온욕조에 입욕후 3분, 6분, 9분, 그리고 12분 등에서 모두 남자가 여자 보다 높았으며, 냉욕조에서도 남자가 여자 보다 높게 나타났는데, 특히 3분 시점에서 남자가 110.77mmHg로 99.47mmHg인 여자 보다 통계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P=0.0543), 9분에서도 남자가 108.46mm班g로 여자의 96.84 mmHg 보다 높았고(P=0.0200), 역시 12분에서도 남자가 108.46mmHg로 여자의 100.00mmHg 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P=0.0165). 2. 이완기혈압은 온 냉욕에서 남자가 여자보다 비교적 높게 나타났는데, 특히 냉욕시의 9분에서 남자가 74.61 mmHg로 여자의 63.68mmHg 보다 높았고(P=0.0051), 12분에서도 남자가 75.38mmHg로 64.21 mmHg의 여자 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왔다(P=0.0031). 3. 맥박수는 온욕에 입욕시 모두 남자가 여자 보다 유의하게 높았는데, 3분의 시점에서 남자가 97.76회, 여자가 82.11회 이고(P=0.0024), 6분은 남자 104.23회, 여자 89.42회 이며(P=0.0025), 9분에서도 113.3회가 남자이고, 92.63mmHg는 여자로 남자가 높았다(P=0.0001). 12분도 남자가 115.46mm班g로 여자의 94.21회 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P=0.0006). 냉욕에 입욕시 3분과 5분에서는 남자가 여자 보다 높았으나, 9분과 12분 시점에는 여자가 남자 보다 약간 높게 나타났다. 4. 호흡수도 온욕에서 해당 시간에 따라 남자가 여자보다 유의하게 증가하였는데, 남여 각각 3분에서 19.84회와 18.78회이고 (P=0.4815), 6분에서 24.92회 및 20.57회 (P=0.0413), 9분에서 24.92회와 20.57회 (P=0.0413), 그리고 12분에서도 33.31회의 남자가 24.00회의 여자 보다 높았다(P=0.0010). 냉욕에서도 남자가 여자 보다 높았다. 5. 체온은 온욕조에 입욕시 3분에서 여자의 $37.54^{\circ}C$가 남자의 $37.31^{\circ}C$ 보다 높았고(P=0,0175), 6분에서는 남자가 $37.8^{\circ}C$로 여자의 $37.76^{\circ}C$ 보다 약간 높았으며, 9분에서도 남여 각각 $38.30^{\circ}C,\;37.97^{\circ}C$로 남자가 여자 보다 높게 나타났고(P=0.0131), 12분에서도 남자가 $38.55^{\circ}C$로 여자의 $38.14^{\circ}C$ 보다 높게 나타났다(P=0.0008). 냉욕에서는 각각 시점에서 남여가 비슷하였다. <시간에 따른 vital sign의 변화> 1. 수축기혈압은 안정시와 온욕에 입욕후 3분, 5분, 9분, 그리고 12분의 시점에서 각각 105.15 muHg, 104.69 mmHg, 104.24 mmHg, 103.03 mmHg, 그리고 96.69 mmHg로 시간이 지날수록 점점 감소하였다(P=0.3006). 냉욕시에도 100.91mmHg, 103.33 mmHg, 103.33 mmHg, 100.91 mmHg로 감소하였으나 마지막 12분에서는 103.09 mmHg로 약간 증가하였다(P=0.7566). 2. 이완기혈압은 온욕에서 수축기혈압과 비슷하게 시간이 지남에 따라 약간씩 감소하였고, 냉욕은 3분과 6분에서 약간 증가하였으나 9분에서 감소하다가 다시 12분에서 약간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3. 맥박수는 온욕에서 시간이 지나감에 따라 분당 70.42회, 86.96회, 93.57회, 99.30회, 그리고 101.78회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점점 증가하였고(P=0.0001), 냉욕에서도 약간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4. 호흡수는 온욕에서 시간이 지나감에 따라 유의하게 증가하였는데, 각각 15.75회, 19.09회, 22.09회, 24.94회, 그리고 25.48회로 유의하게 높아졌다(P=0.0001). 냉욕에서는 안정시에서 3분 및 6분까지 각각 15.75회, 19.30회, 19.39회로 점차 증가하였으나, 9분과 12분에서는 18.67회와 18.09회로 약간 감소하였다(P=0.0176). 5. 체온은 온욕에서 역시 시간이 지나감에 따라 $36.63^{\circ}C,\;37.45^{\circ}C,\;37.81^{\circ}C,\;38.12^{\circ}C$, 그리고 $38.33^{\circ}C$ 등으로 점점 증가하였는데(P=0.0001), 냉욕에서는 안정시에서 3분간에는 $36.63^{\circ}C$$37.40^{\circ}C$로 약간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으나, 6분, 9분, 그리고 12분에서는 각각 $37.33^{\circ}C,\;37.37^{\circ}C,\;37.36^{\circ}C$로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P=0.0001). 따라서 본 연구결과에 의하면 온 냉욕에서 수축기 및 이완기혈압은 감소하였고, 맥약수 및 호흡수, 체온 등은 온욕에서 뚜렷한 증가를 보였고, 냉욕에서도 호흡수와 체온은 증가하였으나 맥박수는 비슷한 수치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결과로 환자에게 직접 적용할 수는 없으나 수치료 적용시 참고자료로 사용될 수 있으리라 생각되며, 향후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요구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