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제7권2호
- /
- Pages.190-202
- /
- 1996
- /
- 2233-9183(eISSN)
주의산만 ${\cdot}$ 과잉운동을 주소로 소아정신과를 방문한 아동의 진단적 분류와 평가
DIAGNOSTIC CLASSIFICATION AND ASSESSMENT OF PSYCHIATRICALLY REFERRED CHILDREN WITH INATTENTION OR HYPERACTIVITY
- 홍강의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소아 청소년분과)) ;
- 김종흔 (용인정신병원) ;
- 신민섭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소아 청소년분과)) ;
- 안동현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
- Hong, Kang-E (Division of Child & Adolescent Psychiatry,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Kim, Jong-Heun (Yong-In Mental Hospital) ;
- Shin, Min-Sup (Division of Child & Adolescent Psychiatry,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Ahn, Dong-Hyun (Department of Psychiatry, College of Medicine, Hanyang University)
- 발행 : 1996.12.31
초록
본 논문은 주의산만이나 과잉운동을 주소로 대학병원 정신과에 내원한 5세에서 13세 사이의 환아들을 대상으로 인구학적 특성과 주진단 및 공존질병에 대해서 조사하였고, 그 중에서 주의력결핍 과잉운동장애(ADHD)로 진단 받은 환아들의 인구학적 및 임상적 특성을 조사하였으며, 공존질병이 있는 집단과 ADHD만 있는 집단을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ADHD군과 외향적장애군 및 내향적장애군 등 세집단간의 임상특성과 심리검사상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주진단은 ADHD가 가장 많았고. 불안장애, 정신지체, 우울증, 반항장애, 발달성언어장애 등의 순이었다. 두 가지 이상의 진단이 내려진 경우가 48.9% 이었고, 부진단으로는 유뇨증, 품행장애, 발달성언어장애 등이 있었다. 주진단을 ADHD로 받은 환아들에서 공존질병이 있는 경우가 55.3%에 달했고. 공존질병은 특수발달장애, 품행장애, 반항장애, 불안장애 등의 순이었다. 순수 ADHD군에 비해서 공존질병 수반군에서는 동작성 지능검사와 연속과제수행검사에서 저조한 수행을 보였다. 외향적장애군은 ADHD군에 비해 지능검사의 상식 소검사 및 같은 그림찾기 검사와 연속과제수행검사에서 수행의 저하를 보였다. 내향적장애군은 ADHD군에 비해 교사 평정척도 점수가 낮았고, 아동행동조사표의 소통불능요인이 높았으며 연속과제수행검사에서는 카드 오류수가 낮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볼 때 주의산만이나 과잉운동이 주증상으로 나타날 경우 각종 평가 및 신경심리검사도구를 광범위하게 사용하여 ADHD 외에도 외향적 및 내향적장애군 등 다양한 질환을 감별하여야 하며, ADHD 진단을 내리는 경우에도 수반된 공존질병의 유무를 확인하여 이를 치료계획에 반영하여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assessed psychiatrically referred 5-to 13-year-old children who presented inattention or hyperactivity as chief complaint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primary diagnosis, and comorbid psychiatric conditions of them were identified, and they were assessed using questionnaires and neuropsychological tests. Primary diagnoses included ADHD, anxiety disorder, mental retardation, depression, oppositional defiant disorder, developmental language disorder and others. functional enuresis, conduct disorder, and developmental language disorder were among the secondarily diagnosed disorders. In patients diagnosed as ADHD, overall comorbidity rate was 55.3%. The disorders that frequently co-occured with ADHD were specific developmental disorder, conduct disorder, oppositional defiant disorder, anxiety disorder and other. ADHD groups with or without comorbidity differed in performance IQ and CPT scores. ADHD group differed from externalizing disorders group in the information subscore of IQ, MFFT, and CPT scores, and differed in teachers rating scales, the uncommunication factor of CBCL, and CPT card error compared with internalizing disorders group. The authors concluded that inattentive or hyperactive children should be assessed using various instruments to differentiate other disorders and to identify possible presence of comorbid condition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