틱 장애 환자의 추적 조사

FOLLOWF-UP STUDY OF THE TIC DISORDERS

  • 신종헌 (계명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 ;
  • 정철호 (계명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 ;
  • 김희철 (계명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
  • Shin, Zong-Hun (Department of Psychiatry, Keimyung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 Jung, Chul-Ho (Department of Psychiatry, Keimyung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 Kim, Hee-Cheol (Department of Psychiatry, Keimyung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발행 : 1996.06.29

초록

이 연구에는 틱장애에서 나타나는 공통적 특징을 파악하고 경과 및 예후를 평가하기 위하여 Yale Global Tic Severity Scale(YGTSS)을 이용하여 1984년 1월에서 1994년 8월까지 동산의료원 정신과를 방문한 IS세 이하 틱장애 환자들 중 추적 조사가 가능한 30명을 대상으로 $3.1{\sim}18.1$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발병 연령은 $7.5{\pm}2.4$세였으며, 병원을 방문하기까지 틱장애의 지속 기간은 $2.3{\pm}2.2$년이었다. 처음 병원 방문시 증상 부위별 빈도는 눈(66.7%), 음성 틱(43.3%), 입(40%), 머리 (40%), 어깨(20%), 얼굴(20%), 코(20%), 팔(16.7%), 배(13.3%), 다리(13.3%)의 순서였으며, 추적조사시에는 음성틱(40%)과 눈과 머리(각각 20%)에서 많이 나타났다. 처음 발병시 9명 (30%)에서는 유발인자가 있었다. 틱장애와 동반된 다른 질환으로 주의력결핍과잉운동장애가 9명, 수면장애 3명, 상동적운동장애(손톱 물어뜯기), 발달성언어장애, 과잉불안장애, 야뇨증, 정신지체가 각각 2명, 말더듬기 및 강박성장애 1명이 관찰되었다. 대상 환자 30명중 11명 (36.7%)에서 완전호전, 11명(36.7%)이 부분호전되었으며, 나머지 8명(26.7%)은 증상이 지속되거나 악화되었다. 틱 증상 혹은 이차적인 불안이나 우울로 인해서 사회생활을 할 수 없는 경우는 4명 (13.3%)이었다. 증상의 호전과 발병 나이, 처음 방문시의 진단, 추적조사 기간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나이의 증가에 따라 증상이 호전되는 경향이 관찰되었다.

30 DSM-III or DSM-III-R tic patients were assessed by hospital records and Yale Global Tic Severity Scale to study the common characteristics, clinical course and longterm outcome of tic disorders after 3.1-18.1 years, 73.3% of the patients(treated or untreated) have recovered or partially improved. Identifical precipitating factors were found in 9 patients. Associated disorders were ADHD, sleep disorder, and so on. The outcome according to age of onset, duration of follow-up and diagnoses have no statistically significance. Increased age at follow up was influenced improvement of tic symptoms, though statistically not significant(p=0.327).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outcome of tic disorder is not ominous and they are relatively good social adjustment inspite of carrying the tic symptoms. But this study has some limitations such as retrospective study and sample size. Studies designed prospectively with large sample would be needed to generalize theses result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