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liferation of Dopamine $D_2$-Like Receptors after Treatment with Low Dose Haloperidol in Rat Brain

저용량의 Haloperidol투여에 의해 유발된 백서 뇌내 Dopamine $D_2$양 수용체증식

  • Kim, Hwang-Jin (Department of Psychiatry, College of Medicin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 Hahn, Kyu-Hee (Department of Psychiatry, College of Medicin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김황진 (경상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 ;
  • 한규희 (경상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
  • Published : 1996.12.25

Abstract

The effects of chronic treatment with haloperidol on the binding capacities of dopamine(DA) $D_2$-like receptor were investigated in rat striatum and olfactory tubercle. The authors tried to confirm the dose-response effects with usual dose and low dose haloperidol. Rats were treated with haloperidol(0.05, 0.15, 0.5, 1.5mg/kg/day in drinking water) for four weeks. Saturation analysis of the binding of [$^3H$]spiperone to striatal membranes showed that the haloperidol treatment(0.05, 0.5, 1.5mg/kg) induced significant proliferation. The changes of dissociation constant(Kd) were not significant in striatum. The maximal binding density(Bmax) and Kd increased remarkably following the treatment with usual dose haloperidol (1.5mg/kg) in olfactory tubercle. Although there was increasing trend other the treatment with low dose haloperidol, the change of Bmax was not significant statistically. The present findings indicate that low dose haloperidol induces the proliferation of DA $D_2$-like receptor in striatum and interact with the dopaminergic transmission which might underlie the antipsychotic effect. This finding may support the recent clinical suggestion on the low dose strategy in the treatment of schizophrenia.

흰쥐에 항정신병약물인 haloperidol을 장기간 투여한 뒤 줄무늬체와 후결절 조직에서의 DA $D_2$양 수용체의 변동에 대해 조사하였다. 약물투여군 4군에게 haloperidol을 각기 0.05, 0.15, 0.5, 1.5mg/kg/day이 되게끔 4주간 투여하였다. DA수용체의 변동은 [$^3H$]spiperone을 이용한 결합반응법을 통해 알아 보았다. 정상대조군에 비해 4주 동안 haloperidol을 투여받은 군 모두에서 줄무늬체에서의 DA 수용체의 최대 결합치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존의 연구에서 사용한 용량보다 대단히 낮은 0.05mg/kg/day을 투여받은 군 역시 유의한 증가를 보여 낮은 용량의 haloperidol이 DA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후결절조직의 최대결합치는 haloperidol투여군 모두에서 증가한 경향을 볼 수 있었으나 정상대조군에 비해 1.5mg/kg/day투여군에서 유의한 증가를 볼 수 있었다. 본 실혐의 결과로 미루어 낮은 용량의 haloperidol을 장기간 투여했을 때 뇌내 DA계에 수용체증식이 나타나며 항정신병 효과의 발현과도 관련성이 시사된다. 이러한 결과는 최근 거론되고 있는 항정신병약물의 저용량투여를 간접적으로 지지하는 것으로 생각되며 DA계의 연동을 알리는 다른 생물학적 지표와의 관련성을 살피면 흥미로운 결과를 얻을 것으로 기대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