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박 장애의 정량화 뇌파 소견

Quantitative Electroencephalographic Findings in Obsessive-Compulsive Disorder

  • 윤탁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 ;
  • 권준수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 ;
  • 조맹제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 ;
  • 김용식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 ;
  • 이부영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
  • Youn, Tak (Department of Psychiatry,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Kwon, Jun Soo (Department of Psychiatry,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Cho, Maeng-Je (Department of Psychiatry,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Kim, Yong Sik (Department of Psychiatry,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Rhi, Bou-Yong (Department of Psychiatry,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발행 : 1996.12.25

초록

서울대학교병원 신경정신과 외래를 방문한 강박 장애 환자 19명(남자 14명, 여자 5명)과 연령과 성별을 맞춘 정상 대조군 19명을 내상으로 뇌파를 측정하고, 스펙트럼 분석하여 절대력, 상대력, 양반구간 비대칭도 등의 지표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를 뇌 영상화 방법을 사용한 기존의 강박 장애의 이상 소견과 비교하고, 강박 장애 환자에서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정량화 뇌파의 지표를 발견하고자 하였다.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절대력은 환자군의 Fp1-Fp2, T3-T4 부위에서 theta파의 절대력이 감소가 통계적으로 의미있게 관찰되었다. 2) 상대력은 환자군의 Fp1-Fp2, F3-F4 부위에서 delta파의 증가가 통계적으로 의미있게 관찰되었다. 3) 양반구간 비대칭도의 경우 환자군에서 alpha파와 beta파의 F7/T3-F8/T4의 전극에서 비대칭도가 유의미하게 증가되는 것이 관찰되었다. 이상에서 강박장애에서 나타나는 정량화 뇌파의 각 지표의 소견이 기존의 여러 뇌 영상화 방법을 이용한 강박 장애의 소견과 비슷한 결과를 보이고 있음올 알 수 있고, 이는 강박 장애의 발병 기전과 전두엽과 기저핵의 이상이 서로 관련이 있을 것이라는 가성을 뒷받침해주는 소견이다.

The quantitative EEGs of obsessive-compulsive disorder patients were analyzed using spectral analysis and compared to age and sex-matched controls. The subjects were 19 patients(men=15, women=4) suffering from obsessive-compulsive disorder(DSM-III-R). Absolute power, relative power and interhemispheric asymmetry of EEG were used to compare obsessive-compulsive disorder patients with controls. In order to fit the EEG data to a normal distribution, a log transformation of power values of every bandwidth in each deviation was calculated prior statistical analysis. The Wilcoxon rank test was performed to compare obsessive-compulsive group to the control group. In obsessive-compulsive disorder, abnormalities of quantitative EEGs are prominent in fronto-central. These results ore compatible with other brain imaging studies of obsessive-compulsive disorder and suggested that fronto-central area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pathophysiology of obsessive-compulsive disorder.

키워드

과제정보

연구 과제 주관 기관 : 서울대학교병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