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ress and Immune Function

스트레스와 면역기능

  • Koh, Kyung-Bong (Department of Psychiatry,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고경봉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
  • Published : 1996.06.15

Abstract

The impact of stress on immune function is known to be associated with the interactions among the central nervous system(CNS), neuroendocrine system, and immune system. The main pathways between stress and immune system are wiring of lymphoid organs and neuroendocrine system. Immune system also produces neuropeptides, which modulate immune system. Mediators of psychosocial influences on immune function are found to be peptides released by the pituitry, hormones, md autonomic nervous system. Hypothalamus integrates endocrine, neural and immune systems. Particularly, paraventricular nucleus appears to play a central role in this integration. On the other hand, endocrine system receives feedback from the immune system. The major regulatory pathways which pituitary modulates include the hypothalamic-pituitary-adrenal-thymic(HPAT) axis, hypothalamic-pituitary-gonadal-thymic(HPGT) axis, pineal-hypothalamic-pituitary(PHP) axis. Bidirectional pathways such as feedforward and feedback pathways are suggested in the interaction between stress and immune system. It suggests that psychosocial inputs affect immune function, but also that immunological inputs affect psychosocial function. Thus, prospective studies for elucid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immune function should incorporate measures of immune function as well as measures of endocrine, autonomic, and brain activities at the same time.

스트레스와 면역기능 간의 관계는 중추신경계, 신경내분비계 및 면역계 간의 의사소통 즉 상호작용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다. 중추신경계와 면역계가 상호작용하는 주요 경로는 임파조직의 신경계 wiring system과 신경내분비계다. 면역계는 neuropeptide를 생성하고 이것은 면역반응을 조절한다. 정신사회적 인자와 면역기능 간의 중개자로는 뇌하수체에서 방출되는 peptide, hormone 및 자율신경계 물질이 있다. 시상하부는 내분비계, 신경계 및 면역계를 통합하는 역활을 한다. 특히 시상하부의 paraventricular nucleus가 이 일에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한다. 한편 내분비계는 면역계에 의해서 휘이드백을 받는다. 뇌하수체가 면역계를 조절하는 주요 경로로는 시상하부-뇌하수체-부신-흉선축, 시상하부-뇌하수체-성선-흉선축, 송과선-시상하부-뇌하수체축 등이 시사되고 있다. 스트레스와 면역계 간에는 양 방향의 경로가 있는 것으로 가정된다. 즉 스트레스가 면역계에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면역계가 정신사회적 기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스트레스와 면역기능 간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해서는 면역계, 내분비계, 자율신경계 및 뇌활동을 동시에 측정, 비교하여 이들을 통합할 필요가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