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valuation of the Reliablility and Validity of Premenstrual Assessment Form in Adolescents

월경 전기 평가서 (Premenstrual Assessment Form : PAF)의 신뢰도, 타당도 연구 - 청소년을 대상으로 -

  • Joe, Sook-Haeng (Department of Neuropsychiatry, College of Medicine, Korea University) ;
  • Lee, Hyeon-Soo (Department of Neuropsychiatry, College of Medicine, Korea University) ;
  • Kwak, Dong-Il (Department of Neuropsychiatry, College of Medicine, Korea University) ;
  • Ko, Seung-Duk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Hyup Sung University)
  • 조숙행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신경정신과학교실) ;
  • 이현수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신경정신과학교실) ;
  • 곽동일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신경정신과학교실) ;
  • 고승덕 (협성대학교 사회복지과)
  • Published : 1996.06.15

Abstract

This study was attempted to investigat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premenstrual assessment form(PAF). PAF was administered to 230 high school students who had reported premenstrual changes. PAF revealed considerable diversity in premenstrual symtom changes of the subjects. The items with most frequent reported premenstrual changes were 21 items out of 95. Cronbach's internal consistency was .95, and test-retest reliability was .80. Validity test was performed by constructional validation analysis. 8 factors(impulsive & unstable factor, depressive factor, withdrawal & social functioning impairment factor, anxiety & cognitive dysfunction factor, physiological factor, general discomfort factor, increased well-being factor, other factor) emerged at factor analysis. Each of them accounted for 33.97, 5.10, 3.70, 2.93, 2.64, 2.46, 2.12, 2.03 of total variance respectively. High school students experienced impulsive & unstable features of premenstrual symptoms more frequently. This study suggests PAF can be a reliable and valid tool as a initial screening and evaluation of premenstrual changes. finally, factor analysis result was compared with PAF typological categories.

본 연구는 월경전기 평가서(PAF)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서울시내 모 여고생 300명을 대상으로 PAF를 실시하여 검사 실시 상의 신뢰성이 의심되는 것을 제외한 250명 중에서 월경전기에 불편감을 느끼는가라는 질문에 예라고 응답한 230명의 자료에 대해 통계분석을 하였다. 피험자의 평균 연령은 $16.8{\pm}30.71$세, 초경연령은 $13.1{\pm}61.12$세였다. PAF 95문항의 평균과 반응빈도를 살펴본 결과 모든 문항에 골고루 응답되어 PMS의 다양성을 확인할 수 있었고 그 중에서도 한국 청소년의 주된 월경전기증상을 반영하는 것으로 보이는 21개 문항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검사의 내적 일치도는 ${\alpha}=.95$로 상당히 높아 문항의 동질성이 있음이 밝혀졌으며 검사-재검사 신뢰도는 r=.80으로 시간경과에 따른 검사의 안정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요인분석 결과 충동성 및 불안정성 요인, 우울 요인, 철수 및 사회적 기능 손상 요인, 불안 및 인지기능 손상 요인, 신체생리적 변화 요인, 전반적 불편감 요인, 안녕감 증가 요인, 기타요인의 8개 요인구조가 확인되었다. 결론적으로 타당도 연구에서는 추출된 하위 요인구조 들이 월경전기 증상을 잘 반영하고 있으며 신뢰도 연구 결과도 만족스러운 수준을 보여 PAP가 월경전기 변화를 선별평가 하는데 유용하게 쓰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논의에서는 요인분석에 의한 분류체계를 Halbreich등(1982)의 주관적 평가기준에 의해 만들어진 형태학적 분류와 비교하여 보았고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에 대해 논의해보았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