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하 흉막삼출액의 임상적 고찰

Clinical Evaluation of Subpulmonic Effusion

  • Kim, Kyeong-Ho (Department of Chest Medicine, National Medical Center) ;
  • Lee, Young-Sil (Department of Chest Medicine, National Medical Center) ;
  • Ohn, Jun-Sang (Department of Chest Medicine, National Medical Center) ;
  • Cho, Dong-Ill (Department of Chest Medicine, National Medical Center) ;
  • Rhu, Nam-Soo (Department of Chest Medicine, National Medical Center)
  • 발행 : 1996.02.29

초록

연구목적: 폐하 흉막삼출액은 전형적인 흉막삼출액과는 달리 진단이 용이하지않고 병태 생리 및 임상 양상이 전형적인 흉막 삼출액과는 다론것으로 생각되어 폐하 흉막 삼출액의 조기진단에 도움이 되고자 연구하였다. 연구대상: 1990년 1월부터 1993년 12월 까지 국립의료원 흉부내피에 입원하였던 276예의 흉막염 환자와 이중 42예의 폐하 흉막염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결과: 1) 폐하 흉수환자의 평균연령은 34세, 남여비는 1:1이었다. 일반 흉수환자의 평균 연령은 38세 였다. 2) 폐하 흉수 및 일반흉수 모두에서 우측에 약간 호발하였다. 3) 폐하 흉수에서의 증상은 흉통(69%), 기침(31%), 호흡곤란(26%)의 순이었고 일반흉수에서는 흉통(70%), 호흡곤란(40%), 기침(35%)의 순이었다. 4) 입원전 증상의 발현기간은 폐하 흉수에서 좀더 긴 것으로 나타났으나 통제적 의의는 없었다. 5) 원인질환으로는 폐하 및 일반흉수 모두에서 결핵이 각각 21예(50%), 151예(65%)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이 비특이성 흉막염 소견이 12예(28%)로 폐하흉수에서 많았다. 6) 퇴원 1년이내에 재발 하였던 경우는 폐하 흉수에서 8예(19%), 일반 흉부에서 42예(18%)가 재발 하였다. 결핵성 흉막염 환자중 폐하 흉수에서 1년이내의 재발이 일반 흉수 환자보다 많았다. 7) 폐하 흉수 및 일반흉수의 생화학적 검사치의 차이는 없었다. 결론: 폐하 흉막 삼출액과 일반 흉막삼출액 환자를 비교하였을 때 니이, 연령, 이환부위, 원인질환, 내원전 증상호소의 기간, 방사선소견에 의해 증명된 재발율, 그리고 기본 흉수검사등에 있어서는 유의한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 단지 결핵성으로 증명이 되었던 환자들 중에서 폐하 흉수 소견을 보였던 경우 일반흉수의 소견을 보였던 경우보다는 약간 더 많은 재발율을 보이고 있었다.

Background: Diagnosis of subpulmonary effusion is thought to be somewhat difficult more than pulmonary effusion. Clinical course and pathophysiology are thought to be different from typical pulmonary effusion. This study was done for increasing high suspicious index and early diagnosis of subpulmonary effusion. Method: Among the patients at dept. of chest medicine, National Medical Center from January 1990 to Dec. 1993, 232 cases of typical pulmonary effusion and 42 cases of subpulmonary effusion were studied. Result: 1) The ratio of subpulmonary effusion and typical pulmonary effusion was about 1:5. 2) Male to Female ratio was 1:1 in both effusion. 3) Rt. side pleural and subpleural effusion were slightly predominant. 4) Subjective symptoms are chest pain, cough and exertional dyspnea.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subpulmonary and typical pulmonary effusion. 5) Duration of symptom was slightly longer in subpulmonary effusion. 6) The most common cases of pleural effusion is tuberculosis in both subpulmonary & typical pulmonary effusion. Non-specific pleuritis was more common in subpulmonary effusion. 7) Pleural effusion was recurred about one fifth in both subpulmonary & pulmonary effusion. Conclusion: We studied clinical course and laboratory findings between subpulmonary & pulmonary effusion. However there are no definite difference between subpulmonary & pulmonary effusion. Duration of symptom was slightly longer in subpulmonary effusion. Most common cause was tuberculosis. Non specific pleuritis was more prevalent in subpulmonary effusion.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