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피적 폐생검의 진단성적 및 합병증

The Diagnostic Yield and Complications of Percutaneous Needle Aspiration Biopsy for the Intrathoracic Lesions

  • 장승훈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및 결핵 연구소) ;
  • 김철현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및 결핵 연구소) ;
  • 고원중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및 결핵 연구소) ;
  • 유철규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및 결핵 연구소) ;
  • 김영환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및 결핵 연구소) ;
  • 한성구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및 결핵 연구소) ;
  • 심영수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및 결핵 연구소)
  • Jang, Seung Hun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and Tuberculosis Research Institute,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Kim, Cheal Hyeon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and Tuberculosis Research Institute,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Koh, Won Jung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and Tuberculosis Research Institute,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Yoo, Chul-Gyu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and Tuberculosis Research Institute,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Kim, Young Whan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and Tuberculosis Research Institute,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Han, Sung Koo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and Tuberculosis Research Institute,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Shim, Young-Soo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and Tuberculosis Research Institute,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발행 : 1996.12.30

초록

연구배경: 경피적 폐생검은 흉부 병소의 진단을 얻기위해 흔히 이용되는 검사 방법으로써, 축적된 경험, 검칩의 개발, 영상 유도 방법의 개선으로 진단 성적이 높아지고 있으며, 기존의 논문들이 28 - 98%의 진단 성적을 보고하며 시술에 의한 합병증은 그 정도가 가벼워서 비교적 안전하게 시행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저자들은 서울대학병원에서 1년 동안 시행된 경피적 폐생검 결과를 검토하여 그의 진단 성적과 합병증의 빈도와 정도를 조사하고 진단 성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평가하고자 본 연구를 시작하였다. 방법: 1994 년 1월부터 1994년 12월까지, 흉부병소를 가진 236명의 환자에게 시행된 287 회의 경피적 폐생검 결과를 검토하여 양성 및 악성 질환에 대한 진단 성적과 합병증의 발생 빈도를 조사하였다. 병소는 21- 23 G Chiba needle로 흡인하였고, 필요시 19 - 20 G Biopsy gun으로 생검을 실시 하여 미생물학적 검사, 세포진 검사, 병리 조직학적 검사를 시행하였다. 그 결과 및 합병증의 발생 빈도는 병록지만을 참고하여 산출되었다. 병변의 형태와 크기에 따른 진단 성적은 chi square 방법으로 통계 처리하여 비교하였다(P<0.05). 결과: 병변의 위치는 우상엽 26.3%, 우중엽 6.4%, 우하엽 21.2%, 좌상엽 16.8%, 좌하엽 10.6%, 2엽 이상의 부위에 병변이 있었던 경우가 17.4%, 종격동 1.3% 였다. 병변의 형태는 경화성 병변이 19.9%, 결절 또는 종괴성 병변이 80.1% 였다. 236명 중 양성 질환자는 74명, 악성질환자는 142명, 경피적 폐생검을 포함한 어떤 검사로도 진단이 밝혀지지 않은 환자는 22명 이었고, 2명은 폐암과 폐결핵을 같이 가지고 있었다. 236 명을 대상으로 총 287 회의 경피적 폐생검이 시행되었는데, 이것으로 확진된 경우가 양성 질환자의 경우 46명으로 62.2%, 악성 질환자의 경우 117명으로 82.4%의 진단 성적을 보였다. 경피적 폐생검을 1차로 시행하여 진단에 이르지 못한 경우 2차, 3차 재 시술 함으로써 양성 질환의 경우 44.6%, 60.8%, 62.2%로, 악성 질환의 경우 73.9%, 8 1.7%, 82.4%로 진단 성적을 높일 수 있었다. 악성 질환자 43 명과 양성 질환자 9명에서 개흉술을 실시하였는데 개흉술과 경피적 폐생검의 병리학적 검사 결과가 일치하였던 경우는 악성과 양성에서 각각 25 명과 4명 으로 58.1% 와 44.4 %의 일치율을 보였다. 또한 약성 질환자 4명과 양성 질환자 2명은 개흉술 후 악성과 양성의 진단이 바뀌었다. 287례의 시행 중 합병증은 각혈 3 례, 경미한 혈담 55 례, 기흉 36례, 발열 3례로 빈도는 각각 1.0%, 19.2%, 12.5%, 1.0 % 였다. 합병증 발생시 각혈과 혈당은 모두 치료를 요하지 않았고, 기흉은 8례에서 흉관 또는 픽테일 카테터를 삽입하였으며, 발열은 모두 48 시간 내에 자연 소실되었다. 병변의 형태와 크기에 따른 진단 성적의 차이는 없었다. 결론: 경피적 폐생검은 진단 성적이 비교적 높고 합병증의 정도가 낮아 흉부 영소의 진단에 유용하지만 병리 조직학적 진단의 정확도는 개선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Bacground : Percutaneous needle aspiration biopsy (PCNA) is one of the most frequently used diagnostic methcxJs for intrathoracic lesions. Previous studies have reponed wide range of diagnostic yield from 28 to 98%. However, diagnostic yield has been increased by accumulation of experience, improvement of needle and the image guiding systems. We analysed the results of PCNA performed for one year to evaluate the diagnostic yield, the rate and severity of complications and factors affecting the diagnostic yield. Method : 287 PCNAs undergone in 236 patients from January, 1994 to December, 1994 were analysed retrospectively. The intrathoracic lesions was targeted and aspirated with 21 - 23 G Chiba needle under fluoroscopic guiding system. Occasionally, 19 - 20 G Biopsy gun was used for core tissue specimen. The specimen was requested for microbiologic, cytologic and histopathologic examination in the case of obtained core tissue. Diagnostic yields and complication rate of benign and malignant lesions were ca1culaled based on patients' chans. The comparison for the diagnostic yields according to size and shape of the lesions was analysed with chi square test (p<0.05). Results : There are 19.9% of consolidative lesion and 80.1% of nodular or mass lesion, and the lesion is located at the right upper lobe in 26.3% of cases, the right middle lobe in 6.4%, the right lower lobe 21.2%, the left upper lobe in 16.8%, the left lower lobe in 10.6%, and mediastinum in 1.3%. The lesion distributed over 2 lobes is as many as 17.4% of cases. There are 74 patients with benign lesions, 142 patients with malignant lesions in final diagnosis and confirmative diagnosis was not made in 22 patients despite of all available diagnostic methods. 2 patients have lung cancer and pulmonary tuberculosis concomittantly. Experience with 236 patients showed that PCNA can diagnose benign lesions in 62.2% (42 patients) of patients with such lesions and malignant lesions in 82.4% (117 patients) of patients. For the patients in whom the first PCNA failed to make diagnosis, the procedure was repeated and the cumulative diagnostic yield was increased as 44.6%, 60.8%, 62.2% in benign lesions and as 73.4%, 81.7%, 82.4% in malignant lesions through serial PCNA. Thoracotomy was performed in 9 patients with benign lesions and in 43 patients with malignant lesions. PCNA and thoracotomy showed the same pathologic result in 44.4% (4 patients) of benign lesions and 58.1% (25 patients) of malignant lesions. Thoracotomy confirmed 4 patients with malignat lesions against benign result of PCNA and 2 patients with benign lesions against malignant result of PCNA. There are 1.0% (3 cases) of hemoptysis, 19.2% (55 cases) of blood tinged sputum, 12.5% (36 cases) of pneumothorax and 1.0% (3 cases) of fever through 287 times of PCNA. Hemoptysis and blood tinged sputum didn't need therapy. 8 cases of pneumothorax needed insertion of classical chest tube or pig-tail catheter. Fever subsided within 48 hours in all cases.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size and shape of lesion with diagnostic yield. Conclusion: PCNA shows relatively high diagnostic yield and mild degree complications but the accuracy of histologic diagnosis has to be improved.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