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방이 형성된 결핵성 흉막 질환에서 배액 방법에 따른 치료효과

A comparative study of three therapeutic modalities in loculated tuberculous pleural effusions

  • 이상화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이소라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이상엽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박상면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서정경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조재연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심재정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인광호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유세화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강경호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Lee, Sang Hwa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Korea University) ;
  • Lee, So Ra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Korea University) ;
  • Lee, Sang Youb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Korea University) ;
  • Park, Sang Muyn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Korea University) ;
  • Suh, Jung Kyung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Korea University) ;
  • Cho, Jae Youn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Korea University) ;
  • Shim, Jae Jeong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Korea University) ;
  • In, Kwang Ho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Korea University) ;
  • Yoo, Se Hwa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Korea University) ;
  • Kang, Kyung Ho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Korea University)
  • 발행 : 1996.10.30

초록

연구배경: 결핵성 흉막염 환자의 일부에서 소방이 형성된 경우는 흉막액의 섬유화나 흉막의 비후가 일어나 폐기능의 장애가 초래되나 치료에 대해서는 논란이 많은 실정이다. 최근에는 농흉환자에서 흉막강내 섬유소를 용해하는 방법으로 혈전 용해제를 흉막강내에 주입하여 섬유소 융해효과를 관찰해 좋은 결과를 확인한 바 있다. 본 연구는 결핵성 흉막 질환에서 소방이 형성된 정도에 따라 반복적 흉막천자, 경피적 도관솔 및 경피적 도관술을 통한 흉막강내 urokinase를 주입하여 배액하는 방법에 따른 치료 효과를 전향적으로 비교하였다. 방법: 흉부 초음파상에 다발성 소방이 형성된 결핵성 흉막염 환자 총 48명을 대상으로 control군, catheter군, urokinase군으로 구별하였다. 소방의 정도는 흉부 초음파로 선상, 중정도, 벌집 모양형으로 나누었다. 초기 치료 효과와 장기적 효과를 단순 흉부 x-선의 호전 정도를 각 군간에 비교하였다. 결과: 치료 초기 효과를 각 군간에 비교하였을 때 흉막 천자의 횟수, 배액 기간 중의 도관의 폐쇄 횟수와 도관을 삽입하고 있는 기간은 urokinase군에서 의미 있게 적었다. 총 배액양은 control군과 urokinase군에 비하여 catheter군에서 양이 많았다. 단순 흉부 X 선상의 치료 효과 초기의 단순 흉부 방사선의 변화는 urokinase군이 가장 호전되었으며, 장기적인 단순 흉부 방사선상의 변화는 각 군간에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comrol군 13명중 4명이 흉막 유착으로 수술을 받았으며, catheter군 12명중 1명이 합병증으로 인한 농흉으로 수술을 받았으나, urokinase군은 수술 받은 자가 없었다. 격막의 정도에 따른 각 군의 방사선학적 효과는 격막이 선상으로 형성된 결핵성 흉막염에서 단순 흉부 방사선상의 변화는 각 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벌집 모양의 격막이 형성된 경우의 단순 흉부 방사선상의 변화는 각 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지만 control 군의 경우 치료 실패로 인해 초기에 1명, 추적 관찰하면서 3명이 수술로 호전되어 사실상 catheter군과 urokinase군에 비하여 현저한 차이를 보였고(P<0.01), catheter군과 urokinase군 사이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이상의 결과로 urokinase를 사용한 군이 경피적 도관을 시행한 군보다 흉막 천자 횟수, 도관의 기간, 도관의 폐쇄 등의 초기 치료 효과는 효과적이나, 단순 흉부 X-선으로 비교한 장기적 치료 효과적 측면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소방이 형성된 결핵성 흉막염에 대한 urokinase의 흉강내 투여는 urokinse의 가격 등을 고려하여 사용하여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Background: Although most of the patients with tuberculous pleural effusions completely reabsorbed their effusions and became asymptomatic within 2 to 4 months, later surgical procedures such as decortication is needed in some patients because of dyspnea caused by pleural loculations and thickening despite anti-tuberculous chemotherapy. It is obligatory to secure adequate drainage to prevent the development of complications. But, the best methods for treating loculated tuberculous pleural effusions remain debatable. Recent several reports revealed that intrapleural instillation of fibrinolytic agents is an effective adjunct in the management of complicated empyema and may reduce the need of surgery. Purpose : The effects of catheterization with intrapleural urokinase instillation were prospectively evaluated in the patients with septated tuberculous pleural effusion, and compared with other therapeutic effects of different modalities of therapy such as repeated thoracentesis and small-bored catheterization. Methods : Forty-eight patients diagnosed with tuberculous pleurisy were randomly separated into three groups; control group(n=13), catheter group(n=12), urokinase group(n=22). In urokinase group, dose of 100.000U urokinase was instilled into the pleural cavity via a percutaneous drainage catheter for complete drainage or total dose of 700,000U of urokinase. After two hours clamping, the catheter was opened and intermittently irrigated. The early and late effectiveness of therapies was assessed by radiographically and by measuring the volume of fluid drained from the catheter. Results :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better result in the urokinase group in respect of frequency of catheterization, frequency of catheter obstruction and the duration of catheterization in early effectiveness(p < 0.05). There were no difference in radiologic improvement of follow-up in later phase chest X-ray between urokinase group and catheter group in later phase(p > 0.05). But there were more failure rates in control group especially honeycomb septa in pleural effusion sonographically than former two groups. And there were no complications of urokinase such as fever or hemorrhage. Conclusion : In the treatment of septated tuberculous pleurisy, there were better results in urokinase than those of catheterization alone in early effectiveness. And there was no difference in radiographic improvement between urokinase group and catheter group. Intrapleural instillation of urokinase is an effective and safe mode of treatment for septated tuberculous pleural effusions and alleviates the need for thoracotomy.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