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행편(獨行篇)에 나타난 비박탐나자(鄙薄貪懦者)에 대한 고찰(考察)

The study on Bi-Bak-Tam-Ra'Ja in Dokhaengpyun

  • 윤덕영 (경희대학교 환의과대학 사상의학과) ;
  • 고병희 (경희대학교 환의과대학 사상의학과)
  • Yoon, Duk-Young (Dept. of constitutional Medicine,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Kyung Hee Univ.) ;
  • Ko, Byung-Hee (Dept. of constitutional Medicine,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Kyung Hee Univ.)
  • 발행 : 1996.08.31

초록

동무(東武)의 저서(著書)에는 동의수세보원(東醫壽世保元)과 격치고(格致藁)가 있다. 격치고(格致藁)중 독행편(獨行篇)은 지인(知人)에 대한 동무(東武)의 철학(哲學)이 담겨있다. 동무(東武)의 사상의학(四象醫學)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독행편(獨行篇)의 비박탐나자(鄙薄貪懦者)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독행편(獨行篇)은 인간의 본성인 인의예지(仁義禮智)를 인자(仁者), 의자(義者), 예자(禮者), 지자(智者)로 규정하고, 이의 속성을 충(忠), 신(信), 입(立), 용(勇)이라 하고 이 개념을 충신염해자(忠信廉解者)로 하여 비박탐나자(鄙薄貪懦者)와 서로 상대적인 관계임을 알 수 있다. 2. 맹자(孟子)의 사부지심(四夫之心)과 비박탐나자(鄙薄貪懦者)의 관계는 비부(鄙夫), 박부(薄夫), 탐부(貪夫), 나부(懦夫)를 인의예지자(仁義禮智者)의 속성과 연계해서 생각하고 유추를 해 볼 수있고 비박탐나자(鄙薄貪懦者)가 인자(仁者), 의자(義者), 예자(禮者), 지자(智者)의 속성을 가지고 있는 유하혜(柳下惠), 백이(伯夷)의 풍도(風度)를 들으면 충신염해자(忠信廉解者)의 행동에 가까워질 수 있다. 3. 비박탐나자지심(鄙薄貪懦者之心)을 대학(大學)의 사부지심(四夫之心)을 인용하여 설명하는데 독행편(獨行篇)의 비박탐나자지심(鄙薄貪懦者之心)과 유략(儒略)의 사부지심(四夫之心)을 생각하보면 어딴 일정한 규율이 없는데 이는 심욕(心慾)을 추정하여 정하기는 어렵고 도식화하여 맞추어서 생각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4. 비박탐나자(鄙薄貪懦者)와 인의예지자(仁義禮智者)의 관계는 독행편(獨行篇), 사단론(四端論), 유략(儒略)의 인의예지(仁義禮智)와 의 비박탐나자(鄙薄貪懦者)와의 관계가 서로 틀리는데 인의예지(仁義禮智) 사단(四端)을 인간(人間)의 본성(本性)으로 생각하면 여러 가지 속성(屬性)이 있을 수 있고 시기와 환경에 따라 사단(四端)을 적용시키는 것이 틀릴 수도 있으므로 이를 고정적으로 보는 시각보다는 적용하는 방법에 따라 변할 수 있다는 것으로 받아들여야 한다.

Donguisusaebowon, Kogchigo are wrritten by Dong-Mu. Dokhaengpyun of the Kogchigo has philosophy of Dong-Mu about Gi-In. In order to understand constitutional medicine of Dong-Mu, it is necessary to study about Bi-Bak-Tam-Ra'Ja(four types of man) in Dokhaengpyun.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 1. In Dokhaengpyu, it is defined that In-Eui-Ye-JI - the nature of human - as In-Ja, Eui-Ja, Ye-Ja, Ji-Ja. This attribute is composed of Chung-Sin-Ip-Yong. We can know that this concept, that is Chung-Sin-Yeum-Hae'Ja, is relative to the Bi-Bak-Tam-Ra'Ja. 2. We can think and infer the relation of Sabujisim of Myeng-Ja and Bi-Bak-Tam-Ra'Ja from Bi-Bak-Tam-Ra'Bu that is attribute of In-Eui-Ye-ji'Ja. Bi-Bak-Tam-Ra'Ja can approach the behavior of Chung-Sin-Yeum-Hae'Ja, if they heard the attitude of YouHaHye and BaelYi which they have attribute of In-Eui-Ye-Ji'Ja. 3. They explain Tthat Bi-Bak-Tam-Ra-Jisim is quoted from SaBuJiSim of Dahak. Thinking that Bi-Bak-Tam-Ra-Jisim of Dokaengpyun and SaBujiSim of YuRiak, we know that there is no rule. So, it is difficult that we can infer the Simyok and make some pattern. 4. The relationship of Bi-Bak-Tam-Ra'Ja and In-Eui-Ye-Ji are different from the relationship of Dokhaegpyun, Sadanron, In-Eui-Ye-Ji of YuRiak and Bi-Bak-Tam-Ra'Ja. If we regard the In-Eui-Ye-Ji Sadan as the nature of human, many attritude can be possible and it may be different that apply a Sadan to the proper time and environment. Therefore, we have to be accepted change, as applying method than fixing idea.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