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ponse of Reed Canarygrass (Phalaris arundinacea L.) to Application of Cattle Slurry Nitrogen

액상구비의 시용수준에 대한 Reed Canarygrass의 반응

  • Jo, Ikhwan (Dept. of Animal Science, College of Natural Resource, Taegu University) ;
  • Lee, Jusam (Dept. of Biological Resources & Technology, Yonsei University) ;
  • Kim, Sungkyu (Dept. of Dairy Resource Science, Samyook University) ;
  • Ahn, Jongho (Dept. of Dairy Science, Anseong National University)
  • 조익환 (대구대학교 자연자원대학 축산학과) ;
  • 이주삼 (연세대학교 생물자원공학과) ;
  • 김성규 (삼육대학교 낙농자원학과) ;
  • 안종호 (안성산업대학교 낙농학과)
  • Published : 1996.03.30

Abstract

In this study, the adequate cutting frequency and level of cattle slurry nitrogen application were investigated for the production of Reed canarygrass. Higher relative dry matter yields were recorded in 2nd cut in 3 cutting frequency, 3rd cut in 4 cutting frequency and 4th cut in 5 cutting frequency respectively. With no fertilization, mean dry matter yields per year were 6.4~7.5 tons/ha and the highest yield appeared in 3 cutting frequency. The increased application of cattle slurry nitrogen resulted in the increased dry matter yield. Significantly higher dry matter yields than that of no fertilization were recorded in fertilization of 180 kg cattle slurry-N per year in 3 cutting frequency, 120 kg in 4 cutting frequency and 300 kg in 5 cutting frequency respectively. Efficiency of dry matter production with cattle slurry nitrogen application (kg DM/kg N) was higher in 120 kg N, 30 kg N and 90 kg N/ha/cut in 3, 4 and 5 cutting frequency respectively. In each cutting frequency, the higher efficiency of dry matter production appeared in 1st cut in 3 cutting frequency, and 2nd cut in 4 and 5 cutting frequency respectively. Economic slurry N level (kg/ha) was 462.7~525.3 kg/ha in 3 cutting frequency, and 353.1~423.2 kg/ha and 380.1~424.4 kg/ha in 4 and 5 cutting frequency respectively.

예취빈도와 액상구비의 시용수준에 대한 Reed canarygrass의 반응을 조사하여, 잠재생산성의 증대를 위한 경제적이고 합리적인 적정 예취빈도와 액상구비의 시용수준을 추정하고자 하였다. 예취빈도별 연간 건물수량에 대한 예취번초의 상대수량은 3회 예취구에서 2번초, 4회 예취구에서 3번초 및 5회 예취구에서는 4번초에서 다른 예취번초에 비해 가장 높은 상대수량을 나타내었다. 무시용구의 연간 건물수량은 예취빈도에 따라 6.4~7.5 ton/ha의 범위를 나타내었으며, 3회 예취구에서 가장 많은 연간 건물수량을 나타내었다. 액상구비의 시용수준이 증가됨에 따라서 연간 건물수량은 증가되었다. 즉, 3회 예취구에서는 연간 180 kg, 4회 예취구에서는 연간 120 kg 및 5회 예취구에서는 연간 300 kg로 증시하였을 때, 무시용구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건물수량을 나타내었다. 액상구비의 건물생산효율 (kg DM/kg N)은 3회 예취구의 120 kg/ha/cut, 4회 예취구의 30 kg/ha/cut 및 5회 예취구의 90 kg/ha/cut에서 각각 16.8, 25.4 및 10.4 kg 의 가장 높은 건물을 생산하였고, 시용시기에 따른 건물생산효율은 3회 예취구에서 1번초, 4회와 5회 예취구에서는 2번초에서 가장 높았다. 경제적 액상구비의 질소시용수준은 3회 예취구에서 462.7~525.3 kg/ha, 4회 예취구에서 353.1~423.2 kg/ha 그리고 5회 예취구에서 380.1~424.4 kg/ha의 범위를 나타내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