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skeletal changes after treatment of Class III malocclusion patients

3급 부정교합 환자에서의 치료후 골격변화 양상에 관한 연구

  • Chung, Dong-Hwa (Department of Orthodontics, School of Dentistry, Dankook National University) ;
  • Cha, Kyung-Suk (Department of Orthodontics, School of Dentistry, Dankook National University)
  • 정동화 (단국대학교 치과대학 교정학 교실) ;
  • 차경석 (단국대학교 치과대학 교정학 교실)
  • Published : 1996.06.30

Abstract

This study was investigated the changes during treatment and retention period in the Class III malocclusion patients and explored the correlationship between factors that showed relapse tendencies and pre-treatment skeletal pattern and the changes during treatment period. Numbers of total sample were 24 and their Hellman's dental age at the start of treatment was over III B and were retained at least over 1 year 6 months. The following conclusion were obtained by comparing the differences between treatment period and retention period, and after analysing the correlationship of factors that manifested relapse tendencies. 1. The angles formed by FH plane and occlusal plane, FH plane and mandibular plane, and mandibular incisor and mandibular plane changes showed rebound effect during retention period and among them occlusal plane angle and IMPA show reverse correlationship. 2. Upward displacement of the occlusal plane at the end of treatment has returning tendency, is proportional to the displacement during treatment period, but the angle between maxillary and mandibular 1st molar to its basal bone have been constantlsy maintained during the retention period. 3. Mandibular plane decrease during retention period and downward backward rotation during treatment period show correlationship.

교정치료는 치료 후의 분석이 이루어져야 그 성공여부를 평가받을 수 있다. 왜냐하면 교정치료는 환자자신의 고유한 균형을 변화시켜 또 다른 균형을 설정해가는 과정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1급이나 2급 부정교합에 비해 3급 부정교합 환자에 대한 연구는 미비하였다. 이 연구는 일반적인 교정치료시와 보정기간 중에는 어떠한 변화과정을 겪으며, 이들 중 재발 양상을 나타내는 요소에 대하여 치료 전의 골격형태와 치료기간 중 변화량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시행하였다. 초진시의 Heilman dental age가 IIIB이상이며 1년 6개월이상의 보정기간이 경과한 24명 을 대상으로 하여 치료기간과 보정기간 중에 각항목의 변화량을 비교하고 이중 복귀현상을 나타낸 항목에 대한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FH plane에 대한 교합평면의 각과 하악평면의 각, 그리고 하악평연에 대한 하악 전치의 각은 치료기간중의 변화가 보정기간 중에 치료전의 상태로의 복귀현상을 나타내었으며 이중 교합평면각과 하악 전치의 치축항목은 치료기간중의 변화량과 역상관 관계를 나타내었다. 2. 치료 종료시 교합평면의 상방변위가 보정기간 중에 원래의 형태로 복귀하려는 경향을 보였으며 이는 치료기간 중에 변위량과 비례하여 나타났으나 기저골에 대한 상하악 대구치의 경사는 치료기간중의 변화량이 보정기간에 일정하게 유지되었다. 3. 보정기간 중의 하악평면각은 치료기간 중의 하악의 후하방 회전량이 클수록 감소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