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valuation of hyoid bone position and airway size in Class III malocclusion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의 설골 위치와 기도에 대한 평가

  • Son, Woo-Sung (Department of Orthodontics, College of Dentistry, Pusan National University) ;
  • Choi, Yang-Sook (Department of Orthodontics, College of Dentistry, Pusan National University)
  • 손우성 (부산대학교 치과대학 교정학교실) ;
  • 최양숙 (부산대학교 치과대학 교정학교실)
  • Published : 1996.06.30

Abstract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hyoid bone position and airway in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and to prove the correlation between airway, hyoid bone position and mandibular position. The sample, considered of 47 class III malocclusion patients for experimmtal group and 52 class I malocclusion students for control group. Twenty three linear and angular measurements about hyoid bone position, airway size, mandibular position were taken from the lateral cephalograms. The differences between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group and normal occlusion group were compared and the correlation were evaluated statistically.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in S-APH, A-APH, N-APH, LAH-PBR, AA-PNS, PNS-ad between class I and class III malocclusion groups. 2. The hyoid bone was more anteriorly positioned in class III malocclusion group than class I malocclusion group and skeletal airway size in class III malocclusion group was smaller than class I malocclusion group. 3.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in several measurements especially vertical and angular measurements of hyoid bone position and airway size between male and female. Usually the measurements in male were larger than female. 4. There were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hyoid bone position and airway size also airway size, and didn't showe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mandibular position, 5. S-APH showed negative correlation with Wits appraisal and A-APH, N-APH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Wits appraisal. On the contrary vertical measurements of hyoid bone position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lower facial height.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의 설골 위치와 기도를 평가하고 이들 사이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부산대학교병원 치과교정과에 내원한 16세 이상의 환자 47명과 치과대학에 재학중인 학생 44명을 대상으로 측모 두부방사선규격사진을 촬영하고 설골의 위치에 대한 전후방적, 수직적 거리 및 각도와 기도의 크기, 하악의 위치에 대해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S-APH, A-APH, N-APH, LAH-PBR, AA-PNS, PNS-ad는 I급 부정교합군과 III급 부정교합군 사이 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2. 설골은 III급 부정교합군에서 더 전방에 위치하였으며 경조직 기도 크기는 III급 부정교합군에서 I급 부정 교합군보다 더 작게 나타났다. 3. 다수의 계측치, 특히 설골의 수직적 및 각도 계측치와 기도 크기가 남성과 여성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대개 남성에서 여성보다 수치가 크게 나타났다. 4. 설골의 위치와 기도 크기 사이에 유의한 상관관계는 없었으며 하악의 위치와 기도 크기 사이에도 유의한 상관관계는 없었다. 5. S-APH는 W its appraisal과 역상관관계를 보였으며 A-APH, N-APH는 Wits appraisal과 순상관관계를 보였다. 설골의 수직적 계측치는 하안모 고경과 순상관관계를 나타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