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ysical Fitness, Leisure Time Physical Activity, and Serum Lipid Levels in Middle-Aged Male Workers

중년 남성 근로자에서 신체 적합도, 여가중 신체 활동과 혈중 지질 농도

  • Kim, Jang-Rak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
  • Nam, Bock-Dong (POSCO Kwangyang Steel Wort Health Center) ;
  • Kim, Ju-Ho (POSCO Kwangyang Steel Wort Health Center) ;
  • Lee, Song-Kwon (POSCO Pohang Steel Work, Health Center) ;
  • Moon, Joong-Kap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
  • Lee, Jang-Ho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
  • Hong, Dae-Yong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 김장락 (경상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 남복동 (광양제철소 보건관리실) ;
  • 김주호 (광양제철소 보건관리실) ;
  • 이송권 (포항제철소 보건관리실) ;
  • 문중갑 (경상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 이장호 (경상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 홍대용 (경상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Published : 1996.06.01

Abstract

This is a cross-sectional study to evalu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physical fitness, leisure time physical activity, and serum lipid levels in middle-aged male workers. Physical fitness was measured by a step test score, and leisure time physical activity was self-reported on a questionnaire. Serum total cholesterol was negatively related to physical fitness(r=-0.27), and positively to obesity index(r=0.27). But leisure time physical activity was related to total cholesterol negatively(r=-0.20) only in subjects whose total cholesterol levels were above 170mg/dl. High density lipoprotein(HDL) cholesterol was positively related to physical fitness(r=0.15), negatively to obestiy index(r=-0.22), and positively to weekly alcohol consumption(r=0.14). Total cholesterol/HDL cholesterol ratio was related to physical fitness(r=-0.23), obesity index(r=0.32), total cigarette index (r=0.13), weekly alcohol consumption(r=-0.13), and vegetable preference(r=0.13). Physical fitness was also related to leisure time physical activity(r=0.19) and obesity index(r=-0.18). In multiple linear regression models, physical fitness(beta=-0.23) and obesity index(beta=0.18)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otal cholesterol, obesity index(beta=-0.25) with HDLcholesterol, and obesity index(beta=0.30), physical fitness(beta=-0.16) and vegetable preference (beta=0.14) with total cholesterol/HDL cholesterol ratio. In conclusion, as physical fitness has a stronger relationship with serum lipid levels than leisure time physical activity, and the association between physical fitness and leisure time physical activity is modest, physical fitness should be added as an important variable in addition to activity in future epidemiologic studies.

본 연구는 40세 이상 중년의 남자 근로자 253명을 대상으로 신체 적합도 및 여가중 신체 활동과 혈중 지질 중 심혈관질환 발생에 특히 중요한 혈중 총콜레스테롤 값, HDL 콜레스테롤 값 및 총콜레스테롤/HDL 콜레스테롤 비와의 관련성을 알아 보기 위하여 시도된 단면조사연구이다. 단순분석에서 혈중 총콜레스테롤 값과 유의한 상관 관계가 있는 변수는 신체 적합도(r=-0.27), 비만지수(r=0.27)였다. 여가중 신체 활동은 총콜레스테롤 값이 170mg/dl 이상군에서만 총콜레스테롤 값과 유의한 상관관계(r= -0.20)가 있었다. HDL 콜레스테롤 값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변수들은 신체 적합도(r=0.15), 비만지수(r=-0.22)및 1주간 음주량(r=0.14)이였다. 총콜레스테롤/HDL 콜레스테롤 비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변수들은 신체 적합도(r=0.23), 비만지수(r=0.32), 총흡연지수(r=0.13), 1주간 음주량(r=-0.13) 및 야채 선호도(r=0.13)이었다. 신체 적합도는 안정시 맥박수와 중등도의 상관관계(r=-0.66)가 있었고, 여가중 신체 활동(r=0.19)및 비만지수(r=-0.18)와도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다중회귀분석(Multiple linear regression) 결과 혈중 총콜레스테롤 값과 유의한 관련성을 보이는 변수는 신체 적합도(beta=-0.23)와 비만지수(beta=0.18)이었다. HDL 콜레스테롤 값과 유의한 관련성을 보이는 변수는 비만지수(beta=-0.25)뿐이었다. 총콜레스테롤/HDL 콜레스테롤 비와 유의한 관련성을 보이는 변수는 비만지수(beta=0.30)와 신체 적합도(beta=-0.16) 및 야채선호도(beta=0.14)이었다. 결론적으로 중년 남성 근로자들에서 신체 적합도는 비만지수와 함께 혈중 총콜레스테롤 값, HDL 콜레스테롤 값, 총콜레스테롤/HDL 콜레스테롤 비의 중요한 관련 요인이었다. 여가중 신체 활동은 혈중 총콜레스테롤 값이 170mg/dl 이상인 군에서만 혈중 총콜레스테롤 값과 관계가 있었고, 신체 적합도와는 관련성이 유의하지만 크지 않았다. 따라서 신체 적합도가 여가중 신체 활동보다 혈중 지질 농도의 더 중요한 관련요인이며, 앞으로 신체 활동에 관련된 역학적 연구에서 신체 적합도가 독립적이고 중요한 요인으로 추가되어야 할 것이다.

Keywords